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59 개의 정답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fordvinhnghean.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fordvinhnghean.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빨간손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424회 및 좋아요 12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공동 인증서는 PC, 스마트폰, USB 등 원하는 저장소에 담아서 사용하는 인증서라면 금융 인증서는 클라우드에 보관되어서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어요. 유효 기간도 차이가 있는데요. 한 번 발급한 공동 인증서는 1년 동안 사용 가능하고 만료 한 달 전부터 갱신할 수 있어요.

Table of Contents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빨간손TV문의
[email protected]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장단점 및 사용법 – 내보내기, 복사 …

(구) 공인인증서인 공동인증서의 경우 유효기간이 1년입니다. 그래서 매년 갱신해야 하며, 유효기간 갱신 안 할 경우 자동으로 폐기됩니다. 반면 금융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info.singident.com

Date Published: 3/24/2021

View: 5144

공동인증서 vs 금융인증서의 차이점은? – post.naver

공동인증서가 PC, 스마트폰, USB 등 사용자의 기기에 인증서를 저장하는 거라면, 금융인증서는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해서 언제 어디서나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post.naver.com

Date Published: 9/29/2021

View: 4584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가 뭔가요?) < 위택스안내

2022-02-07.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가 뭔가요? 구분가입/인증/접속: 금융인증서는 금융결제원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저장 기반의 새로운 인증서이며, 공동인증서 …

+ 더 읽기

Source: www.wetax.go.kr

Date Published: 3/18/2022

View: 6113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 차이, 장단점 비교 – 이베이스매뉴얼

하지만 금융인증서의 가장 큰 단점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사용처가 많이 없다는 점인데요. 공동인증서는 거의 모든 은행, 공공기관, 정부 사이트 등에서 …

+ 여기에 표시

Source: thisthatbase.com

Date Published: 11/28/2022

View: 9815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차이, 핵심만 간결하게 정리 – 지식살롱

인터넷상의 주민등록증이라고 불리는 “공인인증서”가 폐지되고, “공동인증서”로 그 명칭이 바뀌게 되었는데요. 이러한 명칭 변화와 함께 “금융인증서” …

+ 여기에 보기

Source: geteng.tistory.com

Date Published: 11/12/2022

View: 2638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 차이를 아십니까?

금융인증서는 숫자 비밀번호 6자리로 인증이 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는 특수문자까지 포함해서 10자리 이상의 영문과 숫자 조합이죠. 요즘은 사용하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yolofire.tistory.com

Date Published: 9/8/2021

View: 8893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무엇이 다른걸까? – 날아오르다

금융인증서 공동 인증서 차이 12월 10일 공인인증서 폐지가 되었죠 공인인증서 폐지에 대해 말도 많고 걱정도 되었는데요 사실상 폐지가 아니라 …

+ 여기에 보기

Source: berryjb.tistory.com

Date Published: 5/8/2022

View: 1138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및 인증서 발급방법 – 노랗IT월드

현재 기존에 사용하던 구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 각 금융권에서 제공하는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함으로 변경되었지만 아직까지 구 공인인증서인 공동인증서를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yellowit.co.kr

Date Published: 7/4/2021

View: 6832

금융인증서 – 나무위키

금융기관에서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증(출금계좌인증 등)을 거친 후 금융결제원의 사용인증(이름-전화번호-생년월일 매칭)을 거쳐 발행된다. 3. 장점[편집].

+ 여기에 표시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9/1/2022

View: 687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 Author: 빨간손TV
  • Views: 조회수 7,424회
  • Likes: 좋아요 122개
  • Date Published: 2021. 12. 3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uTWJ2MzlJ_Q

금융 거래할 때 공동 인증서? 금융 인증서? 헷갈리는 인증서 차이점 알아보기

금융거래나 공공기관 서류를 발급할 때 공인 인증서로 불편함을 겪었던 적 있으시죠? 2020년 공인 인증서가 폐지되면서 공동 인증서, 민간 인증서 등 다양한 인증서가 생겼는데요! 그중 이름이 비슷한 공동 인증서와 금융 인증서로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IBK기업은행이 공동 인증서와 금융 인증서의 차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공인 인증서, 폐지된 이유는?

온라인에서 전자 서명할 때 꼭 필요했던 공인 인증서! 공인 인증서가 폐지된 가장 큰 이유는 사용의 불편함 때문이에요. 발급 절차가 복잡하고 공인 인증서를 실행하려면 Active X 같은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해서 사용의 어려움이 있었죠. 또 공인 인증서는 컴퓨터, USB 등 공인 인증서를 다양한 곳에 복제할 수 있고 이를 분석하면 암호를 파악할 수 있어서 보안 상 취약하다는 단점도 있었죠.

공동 인증서? 금융 인증서? 그게 뭐예요?

기존의 공인 인증서가 폐지되고 공동 인증서로 이름이 바뀌었어요! 단순히 이름만 바뀐 것이 아니라 공인으로써 역할도 내려놓게 되었는데요. 공식적으로 공인 인증서만 사용해야 했던 것에서 벗어나 민간 인증서 등과 동등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요. 단, 원래 공인 인증서의 특징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요. 금융 인증서는 금융결제원과 은행이 공동으로 만든 본인 인증 서비스에요. 전자 서명 법이 개정된 뒤 새롭게 생긴 인증서이죠. 금융 인증서는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되어서 도용이나 분실 걱정 없이 언제 어디서나 발급받을 수 있어요. 이름만 보면 비슷한 거 같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

● 공동 인증서 : 기존 공인 인증서에서 명칭이 바뀐 것

● 금융 인증서 : 금융결제원 클라우드에 보관하여 사용하는 인증 서비스

공동 인증서와 금융 인증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

먼저 저장 방식의 차이가 있습니다! 공동 인증서는 PC, 스마트폰, USB 등 원하는 저장소에 담아서 사용하는 인증서라면 금융 인증서는 클라우드에 보관되어서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어요. 유효 기간도 차이가 있는데요. 한 번 발급한 공동 인증서는 1년 동안 사용 가능하고 만료 한 달 전부터 갱신할 수 있어요. 금융 인증서는 한 번 발급해도 3년 동안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증 방법에도 차이가 있는데요. 공동 인증서는 영문, 숫자, 특수 문자를 혼합한 10자리 이상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지만 금융 인증서는 6자리 비밀번호 입력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더 자세한 사항은 금융결제원 금융인증센터 홈페이지(https://www.yeskey.or.kr) 를 확인해 주세요!

구분 공동 인증서(구 공인 인증서) 금융 인증서 저장 방식 PC, 스마트폰, USB 등

원하는 장소에 직접 보관 금융 결제원 클라우드 보관 유효 기간 1년 3년 인증 방법 영문, 숫자, 특수 문자를 혼합한

10자리 비밀번호 입력 6자리 비밀번호

오늘은 IBK기업은행과 함께 공동 인증서와 금융 인증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엄연히 다른 공동 인증서와 금융 인증서! 두 가지의 차이점을 잘 파악하셨나요? 앞으로도 IBK기업은행이 금융 상식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가득 담아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장단점 및 사용법 – 내보내기, 복사 필요없음

알아두면 도움되는 금융 생활 정보입니다. 오늘은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 차이, 장점과 단점 그리고 금융인증서 사용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점

금융인증서란?

2020년 12월 10일 출시된 인터넷 금융 거래 시 사용할 수 있는 금융결제원에서 개발한 새로운 인증서비스입니다.

공인인증서 폐지?

지난해 말 공인인증서가 폐지되었다는 뉴스 기사를 보셨을 겁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공인인증서가 아예 없어진 걸로 오해하신 분들이 많을 건데요, 사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공인인증서’가 폐지된 게 아니라 인증서에 ‘공인’이라는 단어가 폐지된 것입니다.

기존에는 금융결제위원회와 한국증권전산 등 지정된 6개의 발급기관에서만 독점적으로 ‘공인’된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독점적 지위를 이제 폐지하고 민간에서 발급한 인증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대하며, 그러한 취지에 맞게 ‘공인’이라는 단어를 폐기하고 ‘공동’인증서로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 정부에서 발표한 ‘공인인증서 폐지’의 골자입니다. 사실 표현이 좀 헷갈리긴 하네요.

(참고. 공인인증제도 폐지 자주 묻는 질문들 – 정책브리핑 보도자료, (구)공인인증서 발급기관)

그럼 뭐가 달라졌나? 라고 생각하시는 계실 텐데요. 금융 거래 시 사용할 수 있는 인증서 종류가 많아져서, ‘이용자의 인증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20년 12.10일부터 이제 금융거래 시 사용 가능한 인증서 종류는 크게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인증서 종류 (2020.12.10부터)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 (구)공인인증서 금융결제원에서 새로 출시한 인증서비스 카카오페이, 네이버, 토스, PASS 등

민간 기업이 개발한 인증서비스

(구) 공인인증서 → 공동인증서

정리하면 ‘공인’인증서는 안 없어졌고 이름이 ‘공동’인증서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미 가지고 계시던 (구) 공인인증서를 그대로, 그리고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규 재발급도 가능해서 정말이지 말 그대로 이름만 바뀌었습니다. (구) 공인인증서는 1년 유효기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폐기됩니다.

그리고 (구) 공인인증서와 (신규) 금융인증서 두 가지 함께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아직 (구) 공인인증서를 요구하는 기관이 많고, 금융인증서 사용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둘 다 사용할 수밖에 없을 것 같기도 합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및 장단점

먼저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차이점을 간략히 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교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출시 2020년 12월 10일 새로 나온 인증서 기존 공인인증서가 이름만 바뀜 발급기관 금융결제원 금융결제원, 코스콤 등 6개 지정기관 인증서 보관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 개인 PC, 스마트폰, USB 등 로컬 장치에 저장 유효기간 3년, 자동 갱신 1년, 자동 폐기 보안프로그램 설치여부 불필요 필요함 비밀번호 숫자 6자리 특수문자 포함 10자리 발급수수료 무료 무료 PC, 스마트폰 이동 시 불필요 인증서 이동, 복사 절차가 필요 다른 은행 이용 시 인증서 타행 등록 필요 인증서 타행 등록 필요 사용처 현재 은행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 은행, 신용카드, 증권사, 정부기관 민원서비스 등

대부분의 기관에서 사용 가능

특징 1. 클라우드 저장 방식

금융인증서의 가장 큰 특징은 이용자가 발급받은 인증서가 (구) 공인인증서처럼 PC나 스마트폰, USB 같은 로컬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금융결제원에서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된다는 점입니다. 클라우드란 쉽게 말해 인터넷 상의 가상 저장공간입니다. 그래서 인증서 저장을 위해 USB 같은 별도의 물리적 저장 장치가 필요 없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금융결제원 클라우드에 접속하면 언제든 발급받은 금융인증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인증서 내보내기, 복사하기 절차 필요 없음

클라우드 방식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기기 사이에 이동이 자유롭다는 점입니다. (구)공인인증서의 경우 스마트폰 공동인증서 복사 즉, PC에서 스마트기기 내보내기 또는 스마트기기에서 PC 복사하기 등과 같은 사용 기기 간에 인증서 이동 과정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방식의 금융인증서는 서로 다른 기기 간에 인증서를 내보내고 복사하고 하는 절차가 필요 없습니다. 인증서가 물리적으로 왔다 갔다 하는 게 아니라 필요시 사용자가 클라우드 접속만 하면 되기 때문에 어떤 기기를 사용하던 인터넷에 연결만 되어 있다면 간단한 본인 확인 후 등록된 금융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안전하다고 하니까 사용하긴 하지만 사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좀 찝찝한 부분이 없진 않습니다. 공공 Wifi나 카페 같은 개방된 네트워크 상에서 보안 문제, 해킹 우려는 없는 것인지, 저도 IT 기술이나 보안 문제는 잘 몰라서 이게 정말 안전한 건지,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는 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금융 결제는 보안된 네트워크 안에서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괜한 걱정일 수 있으나 그래도 주의해서 나쁠 것 없으니까요.

특징 2. 유효기간 3년 그리고 자동갱신

(구) 공인인증서인 공동인증서의 경우 유효기간이 1년입니다. 그래서 매년 갱신해야 하며, 유효기간 갱신 안 할 경우 자동으로 폐기됩니다. 반면 금융인증서는 3년으로 유효기간이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이용자가 별도의 신청하지 않아도 3년이 지나면 자동으로 갱신됩니다.

다만, 1년 동안 클라우드 이용 이력이 없는 경우 안전을 위해 클라우드 계정 및 저장된 모든 인증서가 삭제됩니다.

특징 3. 보안 프로그램 설치 필요 없음

컴퓨터에서 (구)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거나 이용하려면 액티브 엑스(Active X)나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금융인증서는 보안 프로그램 설치 없이 발급 및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은행 자체의 보안 프로그램은 여전히 설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은행의 경우 현재 PC에 보안 필수 프로그램 5개를 설치해야 금융인증서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먼저 금융인증서의 특징 및 장점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이어서 금융인증서의 단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점 1. 사용처가 제한적

현재 대부분의 시중 은행에서 금융인증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개인만 이용 가능하고 개인사업자나 법인은 아직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공공기관, 증권사, 금융투자회사, 카드사 등 아직 사용할 수 없는 곳이 아직 많습니다. 2021년 상반기 도입 예정이라는 기관도 있고 해서, 좀 더 대중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금융인증서 사용 가능한 곳과 사용 불가능 한 곳은 나무 위키 페이지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namu.wiki/w/금융인증서

▶ 2021년 3월 23일 부터 국민건강보험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에서 금융인증서 로그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금융인증서 로그인으로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은 다음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nfo.singident.com/103

단점 2. 다른 은행 이용 시 타행 등록 필요

신규 발급은 어느 은행에서 해도 상관없습니다. 다만, 타행 이용 시 타행 등록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은행에서 금융인증서 신규 발급받았을 때, 타 은행인 국민은행에서 이용하려면 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최초 1회, 금융인증서를 타행 등록을 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차피 공동인증서도 발급받은 은행 이외에 다른 은행에서 사용하려면 타기관 등록을 해야 돼서 이 부분은 꼭 금융인증서만의 단점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인증서 복사 및 내보내기 과정이 필요 없어서 타기관 등록도 공동 인증서보다는 금융인증서가 쉬운 것 같습니다.

금융인증서 사용 방법

금융인증서 발급 방법

금융인증서는 은행 인터넷 또는 모바일 뱅킹 인증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은행 목록은 금융인증센터 금융인증서비스-발급하기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은행 인터넷 뱅킹 서비스는 각 은행 지점에서 인터넷 뱅킹 신청 후 사용 가능합니다.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거래 은행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접속 → 인증센터 → 금융인증서 발급

금융인증서는 1인당 1개만 발급됩니다. 발급받은 금융인증서를 다른 은행에서 이용하려면 ‘타행 등록’을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은행 인터넷, 모바일 뱅킹 인증센터에서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으려면 OTP발급기 또는 은행 보안카드가 필요합니다. 또한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으로 문자 인증 과정이 필요합니다.

금융인증서 발급 방법은 각 은행마다 그리고 PC와 스마트폰 플랫폼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PC에서 우리은행 금융인증서 신규 발급 방법은 다음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nfo.singident.com/92

금융인증서 타행 등록하기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발급받은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은 기관과 다른 은행에서 사용하려면 최초 1회 타행 등록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은행에서 발급받은 금융인증서를 국민은행에서 타행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해주세요. info.singident.com/93

금융인증서 자동연결하기 설정

자주 사용하는 기기에서 금융인증서 자동연결하기 기능을 사용하면 문자인증없이 비밀번호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금융인증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해주세요. info.singident.com/101

금융인증서 삭제 및 탈퇴하기

금융인증서 삭제 및 금융인증서비스 탈퇴 방법은 다음 글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info.singident.com/99

정리하면, 실제 사용해 보니 공동인증서에 비해 금융인증서가 이용하기 훨씬 편리하네요. 금융인증서 사용처가 빨리 늘어나서 이용 범위가 확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밖에 금융인증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금융결제원 금융인증센터 홈페이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금융인증서 발급 및 이용에 관한 문의는 금융결제원 고객센터 1577-5500 (평일 9:00~17:45)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위택스안내 > 자주묻는질문(상세보기: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가 뭔가요?)

금융인증서는 금융결제원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저장 기반의 새로운 인증서이며, 공동인증서는 기존 사용하던 공인인증서와 같으며, 명칭만 변경이 되었습니다.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발급기관 – 금융인증서 : 금융결제원 – 공동인증서 : 한국인터넷진흥원, 금융결제원 등 6개 지정기관 2. 인증서 보관 – 금융인증서 :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 – 공동인증서 : 사용자 기기(PC, 스마트폰, USB 등) 3. 유효기간 – 금융인증서 : 3년(자동갱신) – 공동인증서 : 1년(수동갱신) 4. 비밀번호 포맷 – 금융인증서 : 6자리 숫자 – 공동인증서 : 영문+숫자+특수문자 혼합 5. PC 보안 프로그램 설치 – 금융인증서 : 불필요 – 공동인증서 : 필요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 차이, 장단점 비교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 차이와 장단점을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에 대해 명확히 이해를 할 수가 있으며 둘 인증서 간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통해 앞으로 어떤 인증서를 사용해야 할지 알수도 있습니다. 또한 새롭게 나온 금융인증서의 사용방법, 발급 등에 대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지금 바로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공인인증서 -> 공동인증서 변경

공동인증서는 그동안 우리가 20년동안 사용을 해왔던 공인인증서와 동일하며 2020년 전자서명법 개정안으로 인해 12월 10일부로 공인인증서 법적 지위가 상실됨에 따라 기존 공인인증서를 더 이상 사용 못하게 되었지만 인증 업체에서는 공인인증서에서 공동인증서로 이름만 변경하여 계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이후 다양한 본인인증 서비스가 다른 민간 업체와 금융결제원에서 새로 생겨 났으며 발급도 간편하고 사용도 간편해서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이 주어지게 되었습니다. 공동인증서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은행/카드/보험에서 발급하는 인증서와, 범용인증서, 사업자용 공인인증서, 서버 인증서 등이 있습니다.

장점 : 검증된 보안, 사용처가 많아서 서비스 이용에 편리, 편리한 본인 인증 수단

단점 : 저장과 배포가 간편해서 보안상의 문제가 많음, 엑티브엑스, 플러그인 등 보안프로그램 필수 설치, 짧은 유효기간, 브라우저 호환성 문제 등.

금융인증서

2020년 12월 10일 전자서명법 개정 이후 새로 생겨난 인증서로 금융결제원의 본인인증 서비스입니다. 발급방법은 공동인증서와 동일하며 금융기관에서 인터넷뱅킹과 본인인증으로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금융결제원의 사용등록을 통해 최종적으로 발급 되는 구조입니다.

어떻게 보면 발급하는 방식이나 발급주체가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가 없을수도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지만 공동인증서의 단점을 보완해서 나온 것이 바로 금융인증서이기 때문에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를 통해 차이점에서 확인을 해볼수가 있습니다.

장점 : 금융결제원 클라우드에 보관하기 때문에 보관이 편리하고 분실.유출 걱정이 없음, 별도의 프로그램이 불필요, 비밀번호 단순화, 유효기간 3년 등

단점 : 금융인증과는 별도로 은행에서 보안 프로그램 설치 요구, 다른 은행 이용시 타행 등록 필요, 사용처가 적음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 비교

비교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발급기관 금융결제원 공인인증기관

(금융결제원, 코스콤, 한국정보인증,

한국전자인증, 한국무역정보통신) 유효기간

(갱신기간) 3년 1년 비밀번호 숫자 6자리 영문, 특수문자, 숫자 혼합해서 10자리 보관방식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PC, 휴대폰, USB 등의 저장공간 보안 프로그램 설치

(플러그인) 불필요 필요

(PC에서 필요, 모바일앱에서는 불필요) 타행/타기관 등록 필요 필요 발급수수료 무료 무료 ~ 1,100,000원 내보내기/

복사하기/

이동하기 불필요 필요 사용처 은행, 특수은행,

상호금융기관,

몇몇 보험사,

몇몇 정부.공공기관 인터넷 뱅킹, 신용카드,

보험, 정부민원 발급, 각종 본인인증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에서 볼수 있듯이 금융인증서는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 인증서만으로 비교해 봤을 때 금융인증서는 유효기간(갱신기간)도 길고 보관방식도 편리하고 해킹이나 유출에 대한 문제도 적고 인터넷 사용하면서 불편했던 프로그램 사용도 없다는 장점이 무궁무진하다고 볼수가 있습니다.

또한 아이폰 사용자라면 공감할 내보내기, 복사하기, 이동하기 등의 불편한 점을 금융인증서 하나로 해결을 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인증서의 가장 큰 단점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사용처가 많이 없다는 점인데요. 공동인증서는 거의 모든 은행, 공공기관, 정부 사이트 등에서 사용을 할수 있는 반면 금융인증서는 나온지 얼마 안되서 아직 도입하지 않는 곳들도 많이 있습니다.

얼마전 저축은행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서비스에서 금융인증 방식이 소식이 들리는 만큼 점점 공동인증서에서 금융인증서로 대체되는 현실을 볼수가 있습니다.

결국은 둘 인증서 모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사용을 통해서 원하는 상황에 맞게 활용을 하면 되겠습니다.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를 통해서 앞으로 어떻게 사용을 해야 할지 확인을 해보시면 좋겠고 금융인증서에 대해서 추가로 궁금하신 분들은 사용방법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금융인증서 사용방법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인터넷 뱅킹에 가입되어 있는 은행을 확인해서 발급을 진행하면 됩니다. 1인당 1개 발급이 가능하며 금융인증서와 별개로 공동인증서는 따로 발급 받아 사용이 가능합니다.

참고 : 금융인증서가 필요하다면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금융인증서 타행등록

발급받은 은행이 다르다면 금융인증서 타행등록을 해야지만 사용을 할수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공동인증서와 동일한 방법이지만 클라우드 보관이기 때문에 인증서 위치에 상관없이 진행을 할수가 있습니다.

참고 : 타행등록 방법이 궁금하다면 PC 모바일에서 금융인증서 타행등록

금융인증서 인증단계를 줄이는 방법

금융인증서를 인증하는 단계는 총 5단계로 진행이 됩니다. 하지만 즐겨찾기와 자동연결 방식을 이용하면 비밀번호만 입력하는 방법으로 쉽게 이용을 할수가 있습니다.

참고 : 자동연결 즐겨찾기를 통한 금융인증서 간편 사용방법

비밀번호 분실시

금융인증서 유효기간이 3년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을 하지 않다 보면 비밀번호를 잃어버리는 경우를 종종 발견할 수가 있습니다. 비밀번호 분실시에는 재발급을 통해서 새로운 인증서를 발급해야 합니다.

참고 : 금융인증서 비밀번호 찾기, 분실시 변경방법

폐기, 삭제

폐기방법은 발급한 은행을 통해서 진행을 할수가 있으며 인증서를 더이상 이용하지 않고 싶다면 금융인증서 삭제까지 진행을 하면 좋겠습니다.

참고 : 금융인증서 폐기 방법

금융인증서 vs 공동인증서 차이 뿐만 아니라 장점과 단점 그리고 새롭게 도입된 금융인증서 관련해서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장단점을 통해서 하나의 인증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처에 따라서 다양하게 이용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차이, 핵심만 간결하게 정리

인터넷상의 주민등록증이라고 불리는 “공인인증서”가 폐지되고, “공동인증서”로 그 명칭이 바뀌게 되었는데요. 이러한 명칭 변화와 함께 “금융인증서”와 “민간인증서”라는 것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차이에 대해서 알아본 후, 추가로 민간인증서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개요

온라인에서 인증서의 의미는 신분증과 같은 의미인데요. 오프라인 실생활에서는 내가 누군지 확인을 시켜줄 때 신분증 등을 보여주면 됩니다.

하지만, 온라인상에서는 내가 누구인지 확인시켜줄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공인인증서”였는데요. 2020년까지는 국가에서 인정한 공인인증기관 6개에서만 온라인 신분증인 “공인인증서”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러나, 2021년부터는 이러한 기관의 독점권을 없애고 어느 곳이든 자유롭게 경쟁할 수 있도록 민간업체들도 신분확인을 할 수 있도록 인증방법이 추가되었는데요. 그것이 바로 온라인상 신분증인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 입니다.

공동인증서 : (구)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 : 금융결제원에서 새롭게 출시한 인증서비스

민간인증서 : 네이버, 카카오페이, 페이코(PAYCO), 패스(PASS), 토스(toss) 등 민간기업이 개발한 인증서비스

1.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공동인증서”는 종전에 온라인 신분증 역할을 했던 “공인인증서”에서 이름이 바뀐 것입니다. 즉, “공동인증서”는 종전에 여러 은행에서 발급해주었던 “공인인증서”를 말합니다.

그래서 여러 전자 업무사이트에 접속해보면 아직까지도 “공동인증서” 옆에 “구 공인인증서”라고 표기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공동인증서”는 아래와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 공동인증서 장점

아직까지도 가장 많은 곳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카드회사 또는 기타 금융회사 등에서는 아직까지 새로운 “금융인증서”를 지원하고 있지 않아 기존 “공인인증서”와 같은 역학을 하는 “공동인증서”만 이용이 가능한 사이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사용 시에 보안 프로그램을 여러 개 설치하고, 암호를 길게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그만큼 보안성은 우수한 편입니다.

▣ 공동인증서 단점

기존 “공인인증서”와 마찬가지로 갱신기간이 1년 단위로 매우 짧습니다.

사용 시에 여러 가지 보안 프로그램 등을 함께 설치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본인의 컴퓨터 하드디스크 또는 이동식 USB 등에 인증서를 보유하고 있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용 시에 특수문자를 포함한 암호 10자리 이상 암호를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부분이 있습니다.

참고로 “공동인증서”는 “공인인증서”를 폐지하고 이름만 “공동인증서”로 바뀐 것이기 때문에, 매년 갱신만 해주면 기존에 사용했던 “공인인증서” 그대로 기능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금융인증서

기존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에 새롭게 추가된 “금융인증서”는 은행과 금융결제원이 공동으로 배포한 온라인 운전면허증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금융인증서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융인증서 장점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는 인증서를 이동식 USB 등에 가지고 다녀야 하는데, “금융인증서”는 이러한 불편함이 없어지는데요. 그 이유는 “공동인증서”는 특정 전자기기의 내부저장소가 아닌 인터넷 서버인 ‘클라우드’라는 곳에 인증서를 저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본인 휴대폰만 있으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금융인증서” 사용 시에는 암호가 매우 간편합니다. 즉, 6자리 숫자로 간편하게 암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복잡한 보안 프로그램 등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갱신주기가 3년이므로, “공동인증서” 1년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긴 것이 장점입니다.

▣ 금융인증서 단점

보안이 아직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은행들만 이용한다면 “금융인증서”로 충분하지만, 아직 사용 가능한 기관들이 제한적인 것이 단점입니다. 따라서, “금융인증서”가 제대로 정착할 때까지는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와 함께 사용을 해야 합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차이

앞서 설명드린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차이를 아주 보기 쉽게 정리하며 다음 표와 같습니다.

비고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출시 기존 공인인증서가 이름만 변경 ’20년 12월 10일 출시 발급기관 금융결제원 등 금융결제원 유효기간 1년 (자동 폐기) 3년 (자동 갱신) 비밀번호 특수문자 포함 10자리 숫자 6자리 발급수수료 무료 무료 보안프로그램 설치여부 필요 불필요 인증서 보관 개인 PC, 스마트폰, USB 등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 스마트폰 등 인증서 이동 인증서 이동 및 복사 절차 필요 이동 절차 불필요 다른 은행 이용 시 인증서 타행 등록 필요 인증서 타행 등록 필요 사용처 은행, 증권사, 정부기관 민원서비 등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 가능 현재 은행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

민간인증서란?

인증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및 “금융인증서” 이외에도 “민간인증서”라는 것을 알고 계실 필요성이 있는데요. “민간인증서”는 특정 기관에서 만든 인증서로 오프라인에서는 ‘사원증’이나 ‘학생증’ 정도로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합니다.

“민간인증서”는 네이버, 카카오페이, 페이코(PAYCO), 패스(PASS), 토스(toss) 등 많은 기관에서 제작 중에 있는데요. 이러한 “민간인증서”들은 어느 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즉, 현재 여러 기관과 제휴를 하고 있어 그 사용범위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민간인증서 장점

아주 편하게 발급 가능

사용이 매우 편리함

여러 가지 복잡한 보안 프로그램을 별도 설치 불필요

갱신주기가 3년으로 긴 편입니다.

▣ 민간인증서 단점

보안이 아직 검증되지 않음

민간인증서 제작 기관과 제휴된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

지금까지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차이” 등에 대해서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하단에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정보 글들도 참고해서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예전 공인인증서는 없어진 것이 아니고 “공동인증서”로 변경이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구) 공인인증서”는 지금까지 동일한 방법 그대로 이용을 하시면 됩니다.

이에 반해 “금융인증서”는 새롭게 만들어진 인증 서비스인데요. “금융인증서”는 편리한 서비스이기는 하지만 아직 사용처가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당분간은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와 함께 사용을 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흥미롭게 읽은 이야기

이상으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차이에 대한 소개를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 차이를 아십니까?

공인인증서를 오래 써오다 보니, 아직도 공동인증서라는 말이 입에 잘 안 붙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금융인증서라는 것까지 생겨서 헷갈리는 분들 있으실 겁니다.

오늘은 금융인증서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공동인증서(예전 공인인증서)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 차

1. 공인인증서 vs 공동인증서

2. 금융인증서란?

3.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1. 공인인증서 vs 공동인증서

공인인증서와 공동인증서는 사실 같은 말입니다. 2020년 12월 공인 인증 제도가 폐지되면서 기존의 공인인증서가 공동인증서로 명칭이 바뀌었죠.

공인인증 제도가 폐지됐는데, 공인인증서는 이름만 바꿔서 존재한다니 조금 의아하실 수 있는데요,

사실 공인인증 폐지의 진짜 의미는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지위’를 없앤다는 뜻입니다.

기존에는 공인된 기관(금융결제원, 코스콤 등)에서 발급한 공인인증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면, 이제는 민간 기업에서 발급한 사설 인증서도 본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 겁니다.

공인인증 제도 폐지 이후 현재 사용 가능한 인증수단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공동인증서 : 기존 공인인증서(금융결제원, 코스콤 등)

금융인증서 : 신한·국민·우리·하나 등 전 은행 & 일부 2 금융권(금융결제원 발급)

사설인증서 : PASS 인증서(이동통신), 카카오페이 인증서, 네이버 인증서, 토스 인증서, 페이코 인증서 등

2. 금융인증서란?

공인인증 제도가 폐지되면서, 금융결제원은 은행들과 연계해 별도의 금융인증서를 만들었습니다.

금융인증서는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서버에 인증서를 저장하고, 간편 비밀번호로 쉽게 사용이 가능한 인증서입니다.

1) 클라우드에 인증서 저장

금융인증서의 가장 큰 특징은 인증서를 금융결제원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한다는 것입니다.

공동인증서는 집이나 회사 PC, 노트북에 각각 인증서를 저장해야 하는데요. 금융인증서는 PC에 저장할 필요가 따로 없습니다.

다른 사람 PC에서도 얼마든지 인증서를 통해 금융기관 이용이 가능하죠.

또한 매년 공동인증서를 갱신하면 PC나 스마트폰에 번거롭게 옮기는 것도 일인데요, 금융인증서는 이렇게 복사할 필요도 없습니다.

2) 유효기간 3년

금융인증서의 유효기간은 3년으로 공동인증서에(1년) 비해 넉넉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났다고 자동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 갱신도 됩니다.

매년 공동인증서 갱신하는 게 꽤나 번거롭죠. 비밀번호를 잃어버리기라도 하면 은행에 방문까지 해야 하고 말이죠.

3) 거래 편의성

금융인증서는 숫자 비밀번호 6자리로 인증이 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는 특수문자까지 포함해서 10자리 이상의 영문과 숫자 조합이죠.

요즘은 사용하는 비밀번호가 너무 많아져서, 10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있기가 더 이상 쉽지 않습니다. 금융인증서는 아무래도 그럴 염려는 조금 덜하겠네요.

금융인증서의 제일 큰 장점은 지긋지긋한 보안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 이거 하나만 해도 금융인증서를 사용할 이유는 충분하지 않나요?

금융인증서 단점

금융인증서의 가장 큰 단점은 공동인증서와 달리 은행마다 금융인증서를 따로 발급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러 은행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처음에 조금 불편하겠습니다.

또한 금융인증서 사용처가 은행과 공공기관 위주로 다소 적다는 것도 아쉬운 점입니다. 증권사 중에서는 현재 유진 투자증권만 모바일에서 금융인증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금융인증서 사용처 (2021년 11월 말 기준)

은행 : 전 은행(카카오 뱅크, 토스 뱅크 제외)

비은행 : 농·축협, 새마을금고, 상호저축은행, 신협 등

카드사 : 우리 카드, NH농협카드

보험사 :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교보생명, 신한생명, KB손해보험, 오렌지라이프생명

공공기관 : 홈택스, 정부24, 질병관리청, 청약홈, ETAX, 공무원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 LH, HF, 병무청, 한국장학재단, 국민신문고 등

다만 금융인증서와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를 동시에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둘 다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인터넷 전문은행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은행에서 금융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는데요, 절차는 공동인증서 발급방법과 거의 비슷합니다.

먼저 금융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해당 은행의 인터넷뱅킹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고, 보안카드나 OTP 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그다음 해당 은행 ‘인터넷 뱅킹’이나 ‘모바일 앱’으로 들어가, 인증센터에서 금융인증서 발급을 선택하면 됩니다.

신한은행을 예로 들어보면, 인터넷뱅킹에서 「개인 > 인증센터 > 금융인증서」로 들어가서 금융인증서 발급을 진행하면 됩니다.

자세한 금융인증서 발급 방법과 은행별 금융인증서 발급 메뉴 위치(링크)는 아래 포스팅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 참고 :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종류별(은행, 증권, 범용) 정리

지금까지 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의 차이를 알아보고, 금융인증서의 특징과 발급방법까지 정리해봤습니다. 인증서 개념 정리에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무엇이 다른걸까?

반응형

금융인증서 공동 인증서 차이

12월 10일 공인인증서 폐지가 되었죠

공인인증서 폐지에 대해 말도 많고

걱정도 되었는데요

사실상 폐지가 아니라 단순히

공동 인증서로 명칭이 바뀌고

(기존 공인인증서 처럼 사용 가능)

금융인증서가 새롭게 도입이 되었을 뿐

공인인증서가 없어진 게 아니니

큰 걱정은 안 해도 될 것 같아요

그럼 공동 인증서는 무엇이고,

금융인증서는 무엇인지

두 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까요?

출처 SBSCNBC

공동 인증서(구. 공인인증서)는

명칭만 바뀐 것이기에

기존에 사용하던 대로 쓰면 되고요

금융인증서는 공동 인증서보다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에 보관하여

USB 등 저장매체를 지정해두지 않고

어디에서나 바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이전 공인인증서는

usb나 핸드폰, pc에

각각 다운을 받았어야 했지만

새로운 금융인증서는

별도의 설치 없이도 바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동 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을 한번 더 알아볼까요?

출처 파이어랩스

발급기관의 차이점도 있습니다.

기존 금융결제원 등 6개의 기관에서만

발급이 가능했던 공인인증서는

금융결제원, 네이버, 카카오 등

발급처의 폭이 넓어져 더 편리해졌습니다.

비밀번호도 기존의 숫자, 영문 조합 대신

패턴, 생체인증 등 더 편리해졌네요

공인인증서를 계속해서 사용하고 싶다면

공동 인증서를 사용해도 좋지만

이는 한시적 운영으로 이용 중단 시기는

아직 미정이지만 언젠가는

이용이 중단될 수도 있기에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아서

같이 사용해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및 인증서 발급방법

현재 기존에 사용하던 구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 각 금융권에서 제공하는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함으로 변경되었지만 아직까지 구 공인인증서인 공동인증서를 사용해야 하는 일부 사이트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점

목록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발급 기간 금융결제원 여러 공인 인증 기관 (ex. 금융결제원, 코스콤, 한국정보인증) 유효 기간 (갱신 주기) 3년 자동 갱신 1년 수동 갱신 저장 방식 클라우드 서버 사용자 기기

(ex. PC, 스마트폰, USB 메모리, 외장하드 등등) 비밀번호 조합 숫자 6자리 영문, 숫자, 특수문자 혼합 10자리 PC 보안 프로그램 설치 X O 타은행 /타기관 등록 필요 필요 PC ↔ 스마트폰 내보내기 불필요 필요 발급 수수료 무료 무료 사용처 은행권, 일부 카드사, 보험사 & 정부·공공 기관 사용 가능 은행권뿐만 아니라 대부분 기관, 금융 회사에서 사용 가능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여기서 볼 수 있듯이 금융인증서는 기존에 우리가 사용하던 불편한 공인인증서를 안정성과 편의성을 개선한 버전으로 암호화폐 기술을 적용해 속도와 보안을 개선했으며 기존 인증서 발급 후 저장을 위해 하드디스크나 USB, 외장하드등에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웹 서버상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어디서나 한번 발급받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외장하드로 공인인증서 복사 이동 삭제방법 아이폰 갤럭시등 핸드폰으로 인증서 복사가능

그리고 기존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운영체지 그리고 윈도우와 리눅스, MacOS 등 각 운영체제의 구분없이 웹상에 있는 서버에서 바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금융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가 있습니다.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점

그 외에도 기존에 1년마다 갱신을 해야했던 갱신기간이 3년으로 변경되었으며 기존에 공동인증서 갱신 시 수동으로 해야햇던 반면 금융인증서의 경우 자동으로 갱신되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인증서 발급 및 분실시 매우 번거로움이 있었고 각각에 대한 은행별로 인증서를 받아야 했던 단점에서 지금은 아무 은행에서 한번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으면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이 있습니다.

금융인증서 발급방법

기업은행 금융인증서 발급

기업은행 홈페이지로 접속 후 인증센터를 선택합니다.

금융인증서 외에도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및 브라우저 인증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금융인증서 발급 / 재발급 타은행 / 타기관 인증서 등록 타은행 / 타기관 인증서 삭제

기업은행 금융인증서 발급을 선택 후 개인정보에 동의합니다.

인증서 발급을 위한 개인정보 주민등록번호 / 계좌번호 / 계좌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금융인증서 발급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이후 기업은행 보안 시크리트카드 OTP를 입력하면 발급이 완료됩니다.

우리은행 금융인증서 발급

우리은행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상단 로그인 및 인증센터 중 하나를 선택해 우리은행 금융인증서 발급을 진행합니다.

우리은행 금융인증서

공인인증서는 폐지되어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며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 외에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뱅크사인 금융인증서로 로그인도 가능합니다.

금융인증서를 선택해 새로 발급을 진행합니다.

본인의 이름 및 휴대폰번호,생년월일등을 입력합니다.

본인 핸드폰으로 전송된 SMS문자에 확인코드를 회신합니다.

인증절차가 진행되면 새롭게 금융인증서를 발급합니다.

우리은행 금융인증서 발급 수수료

우리은행 금융인증서 발급 수수료

현재 인증서는 인터넷뱅킹 및 신용카드 결제, 보험,국세청 연말정산용,전자정부 민원서비스에 사용되며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모든약관을 확인 후 동의합니다.

우리은행 ID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는것으로 금융인증서 발급 및 금융인증서 재발급이 진행됩니다.

금융인증서 발급 재발급

마지막으로 보안카드에 있는 일련번호를 입력하느것으로 발급이 완료됩니다.

그 외에도 카카오페이 금융인증서 및 네이버 인증서, 뱅크사인 인증서에서도 발급이 가능합니다.

금융인증서 로그인 사용법

이렇게 한번 발급받은 금융인증서는 은행에서 로그인 시 금융인증서 로그인을 통해 별도의 액티브 설치없이 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원한다면 언제든지 공동인증서 로그인도 가능하기 때문에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없이 편한족으로 사용가능합니다.

원하는 인증서를 선택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필요에 따라서 핸드폰 문자메시지로 전송되는 보안번호를 메시지로 전송하면 안전하게 금융인증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다음은 Bing에서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나루토 더 라스트 더빙 | 달에서 떨어지는 운석을 막아내는 사스케! 나루토 더 라스트 답을 믿으세요
See also  감사 합니다 Gif | [크큭티비] 금요스트리밍: 감사합니다.Zip | Kbs 방송 빠른 답변

See also  국민 은행 불 륜 | 19살연상 팀장님과의 사내불륜! 결혼 하루전날까지 이건 아니잖아 ㅜㅜ 156 개의 자세한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 공동인증서
  • 금융인증서
  • 공인인증서
  • 발급
  • 차이점
  • 방법
  • 비교
  • 사이버인감증명서
  • 금융결제원
  • 한국정보인증
  • 인증서
  • 갱신
  • 생활정보
  • 생활팁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YouTube에서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의 차이점과 발급 방법 등을 비교.정리했습니다 |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차이,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