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291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fordvinhnghean.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fordvinhnghean.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코딩하는거니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71,854회 및 좋아요 2,65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국내 주요 통신사의 기가급(1Gpbs, 500Mbps) 유선인터넷에 대한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 1Gbps급 인터넷의 전송속도는 평균 다운로드 972.38Mbps, 업로드 965.96Mbps로 측정됐다.

Table of Contents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이번 고지식 서른한번째 영상에서는 인터넷이 느릴 때 얼마나 느린지 수치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과 기가비트 인터넷 사용을 위한 요구사항들에 관해서 얘기 합니다.
기가비트를 사용하기 위한 요구사항으로는,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등에 관해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그리고 또한 한국의 인터넷 과대광고 논란과 세계의 인터넷 공급 회사들은 인터넷을 얼마에 서비스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자신의 인터넷 속도를 수치로 측정하여 확인해 보신 뒤에 내가 제공 받는 최대 인터넷 속도 대비 실제로 얼마나 빠른 속도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다른 고지식 영상 시리즈도 시청해 보세요.
https://shorturl.at/fktw9
알고리즘 투게더 with 거니 채널 확인하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O7g…
인스타그램 (근황+계획 업데이트)
https://www.instagram.com/algorithmto…
페이스북 페이지
https://tinyurl.com/y8t5a5au
————————————————–
#인터넷 #속도 #기가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종스플레인] 내 인터넷 속도 체크하는 법 – Byline Network

KT의 경우 기가인터넷은 최대 1Gbps이고 기가인터넷 콤팩트(500Mbps)가 존재하므로 기가인터넷 사용자는 유선으로 점검 시 500Mbps~1Gbps가 나와야 정상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byline.network

Date Published: 3/13/2021

View: 61

인터넷 속도 평균과 우리집 인터넷이 느린 이유 – 디지털 매뉴얼

인터넷 평균속도란? · 모바일 : 다운로드 121.00 Mbps / 업로드 18.81 Mbps / 지연시간 34ms · 유선랜 : 다운로드 155.39 Mbps / 업로드 147.89 Mbps / 지연 …

+ 여기를 클릭

Source: digit-all.tistory.com

Date Published: 8/23/2021

View: 2242

기가 인터넷 이더넷 속도 체크하기 – 네이버 블로그

위와 같이 기가 인터넷 속도를 직접 측정한 결과, 동일상품의 평균 속도(다운로드 : 486.94 Mbps, 업로드 : 490.81 Mbps)보다 많이 떨어지거나 업로드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9/8/2022

View: 5111

‘인터넷 속도’ 불신 커지는데…정부 평가는 매년 ‘합격점'(종합)

2019년 조사에서 이용자들이 측정한 기가급 유선 인터넷 평균 전송속도는 1Gbps급 인터넷이 다운로드 951.67Mbps, 업로드 949.19Mbps였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sedaily.com

Date Published: 3/19/2021

View: 4319

KT 설치기사가 말하는 인터넷 속도 느린 ‘진짜 이유’ – 미디어오늘

유튜버 ‘잇섭’은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KT의 10기가bps 인터넷 요금제에 가입 … 그는 가입된 상품의 속도보다 실제 평균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은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mediatoday.co.kr

Date Published: 4/30/2021

View: 7882

기가 인터넷 속도 고르는법 총정리(100메가, 500메가, 1기가)

3개 통신사의 LTE 평균속도는 작년 기준 다운로드 속도 153mbps, 업로드 속도 39mbps입니다. 음.. 그런데 이건 어떻게 나온 수치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LTE 속도.

+ 여기에 보기

Source: orthoveloper.tistory.com

Date Published: 12/16/2022

View: 1665

인터넷 속도 평균 – [고지식] 거니 인기 답변 업데이트 – MAXFIT

d여기에서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 인터넷 속도 평균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

+ 더 읽기

Source: ppa.maxfit.vn

Date Published: 10/9/2021

View: 2822

기가 인터넷 – 나무위키

기존의 초고속 인터넷의 100 Mbps 속도보다 10배 빠른 최대 1 Gbps 속도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KT, LG U[1], SK브로드밴드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8/29/2022

View: 263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 Author: 코딩하는거니
  • Views: 조회수 171,854회
  • Likes: 좋아요 2,659개
  • Date Published: 2019. 5. 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EwfcSP9NUE

초고속 인터넷 불신 커지는데…정부 평가는 매년 ‘합격점'(종합)

측정 때마다 주요 상품 모두 최고속도 대비 90% 넘어 “일부 불만 확대해석 곤란, 평가방식은 보완 필요”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최근 KT[030200]의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을 계기로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커지고 있으나 정부가 매년 실시하는 품질평가는 사뭇 다른 결과를 보인다.

이와 관련해 일부 불만 사례와 전체적인 품질은 다를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차제에 불신 해소를 위해 평가 방식을 보완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국내 주요 통신사의 기가급(1Gpbs, 500Mbps) 유선인터넷에 대한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 1Gbps급 인터넷의 전송속도는 평균 다운로드 972.38Mbps, 업로드 965.96Mbps로 측정됐다.

광고

3사 중에선 이번에 논란이 된 KT(다운로드 978.92Mbps, 업로드 972.61Mbps)가 1위였고, SK텔레콤[017670](다운로드 965.46Mbps, 업로드 961.55Mbps), LG유플러스[032640](다운로드 944.72Mbps, 업로드 933.10Mbps) 순이었다.

500M급 인터넷의 평균 전송속도는 다운로드 471.91Mbps, 업로드 475.22Mbps였다.

100M급 인터넷은 사업자 자율평가 결과 평균 다운로드 99.42Mbps, 업로드 99.36Mbps로 측정됐다.

종합하자면 100M급부터 1기가급까지 주요 통신사 인터넷 상품 전부가 상품이 내세운 최고 속도의 90%를 훌쩍 넘는 평균 속도를 냈다는 뜻이다.

지난해뿐만 아니라 이전 수년간의 조사에서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2019년 조사에서 이용자들이 측정한 기가급 유선 인터넷 평균 전송속도는 1Gbps급 인터넷이 다운로드 951.67Mbps, 업로드 949.19Mbps였다.

500M급 인터넷은 다운로드 473.22Mbps, 업로드 476.09Mbps의 평균 속도를 보였다.

2018년 조사에서는 사업자들이 100Mbps급 인터넷을 자율 평가한 결과 다운로드 99.39Mbps, 업로드 98.36Mbps였다.

이런 결과에 대해 업계에서는 최근 논란은 물론, 실제 소비자 체감 품질을 제대로 반영했는지 의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과기정통부 품질평가에는 이번에 논란이 된 10기가 상품은 포함되지 않았다.

KT가 최근 약 9천명의 10기가 인터넷(10Gbps, 5Gbps, 2.5Gbps) 가입자를 전수조사한 결과, 이 중 약 180명인 10Gbps 상품 가입자 중 24명에서 10Gbps 가입자가 5Gbps 가입자로 설정돼 있는 것과 같은 고객정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으나 정부 조사는 이런 부분을 간과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방통위가 시행하는 실태점검을 계기로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평가 방식을 새로 정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실제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품질이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최근 논란이 이런 평가에 대해 불신을 초래했다”며 “이번 사안을 섣불리 전체로 확대하기보다는 면밀한 조사를 토대로 세심하게 제도를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종스플레인] 내 인터넷 속도 체크하는 법

인터넷 속도 체크 방법만 알고 싶다면 중간의 fast닷컴 문단부터 읽도록 하자.

회사 물건 중 가장 민감해서 아무 데나 놔두면 안 되는데 막상 설치하면 아무 데나 놔두는 게 있다. 바로 인터넷 라우터다. 우리가 흔히 쓰는 인터넷 선은 RJ45 형식으로, 내구성이 뛰어난 편이 아니다. 따라서 사무실을 옮겼을 때 가능하다면 사람이 발로 차지 않는 영역에 두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를 모를 때 직원들은 라우터를 발로 건드리게 되고 이것은 가끔 인터넷 접속 끊김의 결과로 돌아온다.

바이라인네트워크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는데, 전체 인터넷이 끊어져 라우터의 상태를 체크한 바 있다. 1. 외부(요즘은 벽에 빌트인된 경우가 많다)에서 오는 인터넷 선을 체크하고, 2. 라우터의 전원을 껐다 켜서 상태를 체크하면 된다. 그런데 인터넷이 잘 되는지 여부와 별개로 몇 직원은 와이파이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평을 내놓았다. 요즘 인터넷 속도가 제값을 못한다는 평가가 많았으므로 다 함께 체크를 해보았다. 속도 체크는 넷플릭스가 제공하는 fast.com을 주로 사용했다.

직원들의 인터넷 속도는 유선 100~200Mbps, 무선은 편차가 심했으나 30Mbps 수준으로 나오는 이들도 있었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요금제는 기가인터넷 1Gbps다. 기가인터넷에는 500Mbps와 1Gbps, 10Gbps 요금제가 있으므로 1Gbps 요금제는 적어도 500Mbps는 초과해야 정상이다. 그러나 속도는 100Mbps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런 경우 통신사에 전화로 문의하면 재설정을 통해 속도를 높여준다. 재설정 절차는 1. 모든 접속 기기를 끄거나 끊고 2. 재설정 후 3. 5분쯤 뒤에 속도를 다시 체크한다. 재설정 이후에도 제 속도가 나지 않아 결국 기사 방문 예약을 하고 점검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점은, 유튜버 잇섭의 말처럼 “왜 고객이 항의해야 제 속도가 나는 것인가”이다.

[KT 인터넷 품질측정 결과] 1.일시 : 2021.04.21 10:22:40 2.다운로드속도 : 881.0 Mbps 3.업로드속도 : 874.0 Mbps 4.ping 평균 : 2.28 ms 5.측정자 : 박** 6.접속번호 : None 7.회선인증 : None ※ 측정결과가 낮게 나온 경우, 재측정을 시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시 측정자가 많으면 측정결과가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KT 인터넷 품질측정 시스템#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서기 2100년,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하이퍼루프가 개발됐다. 서울에서 부산까지는 16분이 걸린다. 그런데 밤새 일한 샐러리맨 이속도 씨는 16분이라도 자자 싶어서 100만원을 내고 하이퍼루프를 타자마자 잠에 들었다. 부산에 도착했다는 알람을 듣고 일어난 속도 씨는 시계를 봤더니 한시간이 지나 있었다. 분명 KTX보다는 빠르지만 하이퍼루프 속도치고는 느렸다. 이속도 씨가 항의하자 “시간이 늦었다는 것을 검증하고 감액해주겠다”고 말했다. 그 검증은 이속도 씨가 해야 했다. 그걸 왜 이속도 씨가 해야 할까? 하이퍼루프 값을 냈는데 비행기 속도로 부산에 도착한 셈이다. 그럼 차액이라도 환불을 해줘야 할 것이다. 이속도 씨는 이럴거면 공항패션이라도 입고 올 걸 그랬다고 생각했다.

인터넷 속도는 과거부터 “항의하면 빨라진다”는 것이 공공연한 비밀 같은 것이었다. 이것은 인터넷 속도가 현재 충분히 빠르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예를 들어 웹서핑을 하는 사람은 30Mbps 수준으로도 무리 없이 할 수 있다. 인터넷 속도를 지칭하는 Mbps는 초당 메가비트를 말하는 것으로, 초당 몇 메가바이트를 받을 수 있느냐 하는 것과 다르다. 예를 들어 30Mbps는 초당 3.75메가바이트를 받을 수 있는 속도다. 따라서 30Mbps로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면 메인화면이 늦어도 3초 안에 뜨게 된다. 무언가를 다운받는 게 아니라면 100Mbps(초당 12.5MB 다운로드)면 문제가 없고, 기가인터넷까지 가면 500Mbps나 1Gbps나 큰 차이는 없다. 500Mbps나 1Gbps나 초당 60~120메가바이트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웹페이지를 띄울 때 어느 요금제이든 1초 안에 뜨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도를 떨어뜨려도 알기 어렵다. 10Gbps 요금제의 경우 초당 1250메가 다운로드가 가능해야 하는데 이 정도 빠른 속도로 무거운 사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더불어 요즘은 무언가를 다운로드받기보다는 스트리밍하는 시대이므로 이러한 차이를 더욱 알기 어렵다. 스트리밍 사이트는 속도가 느려도 어떻게든 영상을 보여주는 기술을 갖고 있으며, 주요 업체들은 이러한 기술을 꾸준히 갖춘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의 경우 안정적인 콘텐츠 전송 속도가 가장 큰 강점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음원, 영상 등 대부분의 사이트가 이러한 기술을 갖고 있다. 따라서 속도가 느리면 느린 대로 어떻게든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이 내는 요금에 합당한 인터넷 속도를 보유하고 있는지는 알기 어려운데, 이를 확실히 체크하고 요금에 맞는 서비스를 받는 것이 좋다. 이속도 씨의 사례처럼 고객이 직접 항의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러나 당장 어느 부분에서 음영이 발생하고 있는지 인터넷 공급자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체크해보고 항의하는 것이 더 좋겠다. 이중 몇가지 올바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Fast.com

넷플릭스에서 사용하는 속도 체크 사이트다. 그러나 해외망 위주로 판단하므로 추천하지는 않는다. 다만 빠르게 체크해보기 가장 쉽다. 주소만 치고 들어가면 바로 속도를 체크해준다. 서버는 주로 도쿄와 샌프란시스코가 잡힌다.

스피드테스트닷넷

전 세계에 서버를 두고 테스트하는 서비스이므로 몇가지 설정만 할 수 있다면 안정적으로 결괏값을 받을 수 있다. 접속방법은 Speedtest.net에 접속해 속도 체크를 누르면 되는데, 한국 서버는 OneProvider와 kdatacenter 두가지가 있다. 이중 kdatacenter가 속도가 더 안정적으로 체크되는 경향이 있다. 만약 kdatacenter로 체크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방법을 거치자.

웹브라우저에서 접속 후 ‘GO’ 버튼을 누르기 전 Change Server를 눌러 서버를 고른다. 화면으로 돌아와 GO 버튼을 누른다.

스마트폰으로 체크할 때는 웹 브라우저에서도 가능하다. 다만 이경우 서버를 바꾸기 어려우므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스피드테스트 앱을 받아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인터넷 제공자가 보내주는 속도를 체크하기 위해 꼭 와이파이를 켜고 체크하자. 벤치비와 더불어 가장 추천하는 서비스 중 하나다.

벤치비

국내 서비스로 회선 등을 알아서 골라주는 것이 편리한 사이트다. PC에서는 벤치비 사이트에 접속해 바로 속도를 측정하면 된다.

모바일에서는 벤치비 앱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를 켜고 체크해보면 된다. 벤치비의 장점은 주변 평균 속도를 비교해주고, LTE나 5G 등으로 속도 체크를 할 때 자동으로 모드를 바꿔준다는 것이다. 추천 서비스다.

통신사 속도체크 사이트

인터넷 제공자들은 각 사이트에서 인터넷 속도 체크 툴을 제공하고 있다. 자신이 쓰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어떤 회사인지를 파악하고, 로그인해 체크하면 된다.

KT를 쓰고 있었으므로 KT에서 제공하는 속도 체크를 했는데, 예상치 못한 큰 난관을 만났다. 비밀번호 찾기가 동작하지 않았다. 핸드폰 인증, 공동인증서, 메일로 찾기, 아이핀으로 찾기 모두 동작하지 않았다. 이길 수 없는 적과 싸우는 돈키호테가 된 기분이다. 최근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등의 방법에 익숙해져 KT 로그인이 이렇게 어려웠다는 것을 잊고 있었다. 카카오톡이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한국 인터넷 유저들을 나약하게 만들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계정이 휴면을 넘어 폐기된 것을 깨달았고, 새로 가입해 인터넷 속도를 체크했다. PC에서 할 때 설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속도는 다른 서비스와 비슷하게 나온다. 가장 후한 편인데 다른 서비스와 큰 차이는 나지 않는다. 과정이 불편한 편이므로 추천하지는 않지만 다른 툴과 비교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NIA 인터넷 속도 체크

NIA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으로 준정부기관이다. 따라서 비교적 믿을 수 있는 서비스다. 서버나 회선 등을 사용자에 맞춰 서비스하므로 안정적인 결괏값이 나온다. 통신사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을 하나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PC 서비스만 제공한다. 설치 후에 지속적으로 체크하면 체크 내역을 볼 수 있어 속도가 어느 순간에 저하됐는지 알기 쉽다. PC만 사용한다면 추천하는 서비스다.

인터넷 속도 문제에서 고려할 점 – 요금제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들은 주로 최대 속도를 기준으로 요금제를 짜 놓았다. 따라서 기가인터넷이라고 해도 실제로는 기가인터넷이 아니라 ‘기가급’ 인터넷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100Mbps는 메가급이지만, 101Mbps부터는 999Mbps까지 ‘기가급’으로 부른다. 따라서 자신의 요금제가 어느 정도의 속도를 제공하는지 미리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요금제는 고지서 혹은 각 ISP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KT의 경우 기가인터넷은 최대 1Gbps이고 기가인터넷 콤팩트(500Mbps)가 존재하므로 기가인터넷 사용자는 유선으로 점검 시 500Mbps~1Gbps가 나와야 정상이다. 기가인터넷이 아닌 올레 인터넷 요금제의 경우 올레 다이렉트 요금제의 최대속도는 100Mbps다. 따라서 기가인터넷 콤팩트는 100~500Mps가, 올레 다이렉트 사용자는 50~100Mbps가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올레 인터넷 라이트 요금제 최대 속도는 50Mbps다.

SKB는 기가인터넷의 경우 1Gbps, 500Mbps 요금제를 두고 있다. 광랜인터넷은 100Mbps 속도를 제공한다.

LG U+는 각각 10Gbps, 1Gbps, 500Mbps, 100Mbps 요금제를 두고 있다.

따라서 속도는 바로 아래 요금제~자신의 최대 속도 요금제 사이가 나와야 정상이다.

인터넷 속도 문제에서 고려할 점 – 무선 공유기

와이파이 공유기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문제가 복잡해진다. 저성능 라우터를 사용할 경우 ISP가 좋은 속도를 제공해도 공유기가 제대로 된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만약 공유기를 직접 사서 연결한 사용자라면 공유기 전원을 껐다 켜고, 공유기가 과거의 규격을 사용하는지 등을 체크해봐야 한다.

그러나 통신사에서 공유기까지 설치한 경우에는 위의 유선 기준으로 생각해도 된다. 무선 속도도 보장한다는 의미로 판매하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인터넷 속도에 문제가 있다면

ISP 고객센터에 전화해 문의하면 된다. 그러나 고객이 문의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따라서 국회에서는 ISP 전수조사를 하기로 했고, 문제가 생긴 공급자는 사이트에 사과 공지를 올렸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종철 기자> [email protected]

인터넷 속도 평균과 우리집 인터넷이 느린 이유

오늘은 인터넷 속도의 평균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우리 집 인터넷 속도는 왜 제대로 나오지 않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인터넷 평균속도란?

흔히 이야기하는 인터넷 평균속도는 다운로드 속도를 말하는데요. 하지만 정확한 인터넷 속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업로드 속도와 다운로드 속도를 모두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KT, SKT, LG와 같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공식 인터넷 속도 측정 서비스들도 마찬가지로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를 모두 측정해 서비스 품질을 파악합니다.

프로그램, 어플 설치 없이 바로 인터넷 속도 측정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인터넷 평균 속도는 공식적인 집계는 없지만, 전세계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인 Speedtest에서 발표하는 Global Index를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각 월별 업로드, 다운로드 그리고 지연시간을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나타내서 보여주고 있는데요. 왼쪽은 모바일(셀룰러) 속도, 그리고 오른쪽이 일반적인 유선/무선인터넷 속도입니다. 무선인터넷은 와이파이라고도 많이 부르죠.

그 밑에는 각 국가별 인터넷 평균 속도가 나오게 됩니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대한민국이 자랑스러운 세계 1등이고, 중국, UAE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네요.

다만, 광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브로드밴드 인터넷의 경우는 14위에 위치해 있네요. 평균보다는 굉장히 빠른 편에 속하지만, 1등인 싱가포르와는 약 70Mbps나 차이 나는 수치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인터넷이 답답하게 느껴지는 걸까요?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평균 인터넷 속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인터넷 속도 측정 결과입니다!

모바일 : 다운로드 121.00 Mbps / 업로드 18.81 Mbps / 지연시간 34ms

유선랜 : 다운로드 155.39 Mbps / 업로드 147.89 Mbps / 지연시간 22ms

우리집 인터넷이 느린 이유

인터넷 속도가 느린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지리적/환경적인 문제, 컴퓨터 또는 공유기의 문제, 또한 너무 느린 인터넷 상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인터넷 상품의 속도를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계셔서 느리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500메가급 인터넷이라고 광고하는 걸 보고 계약했는데, 인터넷에서 파일을 다운받아 보니 500MB/s가 절대 나오지 않고 보통 40~60MB/s 정도의 속도를 경험하고 계실 것입니다. 여기에는 총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서버와 단말기 사이의 연결 상태

인터넷에서 웹페이지를 보거나 동영상을 보는 것들은 모두 이런 데이터가 업로드되어있는 “서버”에 어떤 데이터를 보고 싶다고 요청을 보낸 다음, 그 데이터가 내가 보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전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내가 요청한 자료를 서버가 빠르게 보내주지 못하는 경우, 인터넷이 느리게 느껴지는 상황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친구와 둘이서 바구니에 공을 담아 옮기는 게임을 한다고 생각해봅시다. 여러분 바구니에는 공을 100개 담아서 옮길 수 있는데, 친구는 한 번에 공을 10개밖에 바구니에 담아주지 못합니다. 그러면 공 100개를 바구니에 가득 채울 때까지 기다려야 하겠죠? 아무리 내 바구니가 크다고 해도 친구가 공을 채우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공을 옮기는 전체 속도가 느려지는 것입니다. 여기서 내 바구니란 나의 인터넷 속도이고, 친구가 공을 채우는 행위가 서버가 데이터를 보내주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게 되실 겁니다.

따라서 우리 집 인터넷이 아무리 빨라도, 이만큼 빠르게 데이터를 보내줄 수 있는 서버가 없어서 실제 스펙 상의 인터넷 속도가 나오는 일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받는 서버가 여러 곳이면 빠르게 받을 수 있겠죠? 게임을 하면서 유튜브를 틀어놓는 상황처럼 서로 다른 서버에서 데이터를 보내준다면 내가 받을 수 있는 바구니가 클수록 좋다는 뜻입니다.

2. 인터넷 속도 표기를 올바르게 이해하자

여러분이 인터넷을 계약했을 때를 잘 생각해 보세요. 500메가급, 기가급 인터넷이라고 해서 1초에 500메가바이트, 1기가바이트가 전송된다고 생각하셨다면 속으신 겁니다. 사실은 500메가급 = 500Mbps, 1기가급 = 1Gbps거든요.

이게 무슨 말이냐, 1Mbps는 1초에 1메가비트를 보낸다는 뜻입니다. 1바이트=8비트이기 때문에, 실제 속도는 이 값에서 8을 나누어 주어야 합니다. 500Mbps = 500/8Mbps = 62.5 MB/s가 됩니다. 기가급은 약 125MB/s가 되겠죠? 그래서 500메가급, 기가급이라도 속도가 체감상 그리 빠르지 않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과는 다른 실제 인터넷 속도에 충격 많이 받으셨나요? 그래도 500메가급, 기가급 인터넷을 사용하고 계시다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빠르고 쾌적한 인터넷 상품을 사용 중인 것이니 크게 심려치 마세요. 하지만 인터넷 속도만큼 중요한 게 있는데, 그게 바로 보안성입니다. 사실 우리가 인터넷 세상을 여행하고 다니면 수많은 기록과 흔적들이 남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가 중요한 정보를 인터넷에 남겼다면 누군가 그 정보를 노리고 해킹을 시도할 수도 있고요.

그래서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내 중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숨겨주고, 누군가가 내 접속 기록을 훔쳐볼 수 없도록 도와주는 VPN이라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VPN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꼭 한번 읽어보세요. 제가 추천드리는 VPN 서비스는 전 세계 5400여 개의 서버를 보유하고 있어 최고의 안전성을 보장해주는 NordVPN입니다. 현재 최대 70% 세일 프로모션이 진행 중이니 아래 배너를 통해 70% 혜택을 받아보세요.

기가 인터넷 이더넷 속도 체크하기

* NIA와 KT에서 측정한 인터넷 속도는 다소 차이가 있다.

4. 인터넷 속도와 통신 환경

기가 인터넷을 온전히 즐기려면 인터넷 통신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인터넷 통신 환경이란 인터넷의 형태, 통신사의 통신 장비, 랜 케이블, 랜 카드 등 통신 라인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구성품들의 성능을 말한다.

1) 인터넷의 형태(대칭형 인터넷)

인터넷은 대칭형 인터넷과 비대칭형 인터넷으로 나누어진다. 대칭형 인터넷(광케이블)은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비슷하지만, 비대칭형 인터넷(동축 케이블)은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다르다. 보통 비대칭형 인터넷은 업로드 속도가 다운로드 속도보다 엄청 느리다.

지금 기가 인터넷이 비대칭형이라면, 1Gbps의 전송 속도를 온전히 발휘할 수 없으며, 업/다운로드 속도가 대칭형 인터넷보다 현저히 늦다. 특히, 업로드 속도는 대칭형의 1/10 수준이다.

‘인터넷 속도’ 불신 커지는데…정부 평가는 매년 ‘합격점'(종합)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근의 인터넷 속도 저하 논란을 계기로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커지고 있지만 정부가 매년 실시하는 품질평가는 사뭇 다른 결과를 보인다. 이와 관련해 일부 불만 사례와 전체적인 품질은 다를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불신 해소를 위해 평가 방식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 나온다.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국내 주요 통신사의 기가급(1Gpbs, 500Mbps) 유선인터넷에 대한 이용자 상시평가 결과 1Gbps급 인터넷의 전송속도는 평균 다운로드 972.38Mbps, 업로드 965.96Mbps로 측정됐다. 3사 중에선 이번에 논란이 된 KT(다운로드 978.92Mbps, 업로드 972.61Mbps)가 1위였고, SK텔레콤(017670)(다운로드 965.46Mbps, 업로드 961.55Mbps), LG유플러스(032640)(다운로드 944.72Mbps, 업로드 933.10Mbps) 순이었다.500M급 인터넷의 평균 전송속도는 다운로드 471.91Mbps, 업로드 475.22Mbps였다. 100M급 인터넷은 사업자 자율평가 결과 평균 다운로드 99.42Mbps, 업로드 99.36Mbps로 측정됐다. 종합하자면 100M급부터 1기가급까지 주요 통신사 인터넷 상품 전부가 상품이 내세운 최고 속도의 90%를 훌쩍 넘는 평균 속도를 낸 셈이다.지난해뿐만 아니라 이전 수년간의 조사에서도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2019년 조사에서 이용자들이 측정한 기가급 유선 인터넷 평균 전송속도는 1Gbps급 인터넷이 다운로드 951.67Mbps, 업로드 949.19Mbps였다. 500M급 인터넷은 다운로드 473.22Mbps, 업로드 476.09Mbps의 평균 속도를 보였다. 2018년 조사에서는 사업자들이 100Mbps급 인터넷을 자율 평가한 결과 다운로드 99.39Mbps, 업로드 98.36Mbps였다.이런 결과에 대해 업계에서는 최근 논란은 물론, 실제 소비자 체감 품질을 제대로 반영한 결과인지 의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과기정통부 품질평가에는 이번에 논란이 된 10기가 상품은 포함되지 않았다.KT가 최근 약 9,000명의 10기가 인터넷(10Gbps, 5Gbps, 2.5Gbps) 가입자를 전수조사한 결과, 이 중 10Gbps 가입자 24명이 5Gbps 가입자로 설정돼 있는 것과 같은 고객정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으나 정부 조사는 이런 부분을 간과한 것이다.이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방통위가 시행하는 실태점검을 계기로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평가 방식을 새로 정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실제 우리나라 초고속 인터넷 품질이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최근 논란이 이런 평가에 대해 불신을 초래했다”며 “이번 사안을 섣불리 전체로 확대하기보다는 면밀한 조사를 토대로 세심하게 제도를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박신원 인턴기자 [email protected]

KT 설치기사가 말하는 인터넷 속도 느린 ‘진짜 이유’

‘잇섭’발 KT 속도저하 논란의 파장이 거세다. 유튜버 ‘잇섭’은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KT의 10기가bps 인터넷 요금제에 가입했지만 실제 속도를 측정해보니 100배 가량 느린 100메가bps에 불과했다고 밝혀 논란이 불거졌다. KT는 사과를 하면서도 24명만 해당하는 ‘오류’라고 설명하면서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실태 점검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잇섭처럼 속도가 100배나 느려지는 경우는 극단적인 사례일 수 있다. 하지만 이용자들이 유튜브 댓글 등을 통해 인터넷 속도 측정 내역을 공개하며 집단적으로 반발하는 데는 일반적인 인터넷 속도가 실제 설치된 상품에 비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왜 인터넷 속도가 가입 때보다 느린 걸까. 현장에선 이를 알고도 속이는 걸까. KT에서 장기간 일한 설치·수리 노동자로부터 현장에서는 속도를 어떻게 측정하고 관리하는지 얘기를 들었다.

그는 가입된 상품의 속도보다 실제 평균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은 일상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기가 인터넷 설치가 불가능한 곳인데도 가입하게 하거나 속도를 속여서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는 부족한 시설 투자와 열악한 업무 환경의 영향으로 현장 설치·AS 기사들은 고객을 속일 수밖에 없는 현실을 지적하며 KT가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인터넷 설치수리 기사의 작업 모습. 본 사진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 주기적으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고 관리하지 않나.

“설치 시에는 무조건 측정해야 한다. KT에서 정한 규정 속도가 있다. 규정 범위 안에 들어와야만 업무 완료 처리를 할 수 있다. 완료하고 난 다음에는 고객이 직접 측정해서 문제제기를 하지 않는 이상은 따로 관리하지는 않는다.”

– 유튜버 잇섭의 영상이 화제가 됐다. KT는 전수조사 결과 24명에게 벌어진 오류라는 입장이다.

“보통 가입자에 대한 식별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가입된 상품을 연동했는데, 여기에 오류가 발생했다는 게 KT 입장이다. 그런데 10기가 인터넷 사용자는 전국에 수백명 정도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24명이면 엄청 큰 비중으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 유튜버 잇섭은 극단적인 사례이긴 하지만, 반향이 큰 이유는 많은 이용자들이 자신이 가입한 속도보다 크게 낮은 속도를 체감했기 때문인 것 같다. 설치할 때 속도 측정을 한다고 했는데, 왜 속도가 느린 걸까.

“규정상으로 현장에서 설치하면서 속도 측정을 할 때 100메가 상품이면 다운로드 기준 80메가 이상 나와야 하고, 500메가 상품이면 400메가 이상 나와야 하고, 1기가 상품이면 800메가 이상 나와야 한다. 그래야 업무 때 ‘완료처리’를 할 수 있다. 하지만 1기가(1024메가) 상품 고객들이 많은데 현장에서 설치할 때 측정해도 800메가가 채 안 나온다.”

▲ 잇섭 유튜브 콘텐츠 갈무리

– 기준 속도가 안 나오면 업무 완료를 못한다고 했는데, 속도가 미달되면 어떻게 업무를 끝내나.

“그래서 800메가 이상이 될 때까지 계속 측정한다. 계속 하다 보면 어쩌다 한번 800메가 이상으로 잡힐 때가 있다. 그러면 이를 기준으로 잡고 고객에게 ‘속도 잘 나옵니다’라고 안내하고 완료 처리한다. 그러니 고객들은 자신이 1기가 상품에 가입했는데 실제로는 600~700메가 정도 밖에 안 나온다고 말씀하시는 거다.”

– 기가 인터넷을 설치할 수 없는 환경인데 가입시키는 경우도 있나.

“특정 아파트는 아파트 설비 자체가 500메가 밖에 못 쓰게 돼 있다. 그런데 1기가로 가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면 접수 자체가 안 돼야 하지만 우회 방법을 써서 처리한다. KT는 이런 경우도 업무 완료 처리를 하라고 한다.”

– 우회 방법은 어떤 게 있나.

“다른 곳에 가서 측정한다. 이 아파트 설비가 500메가 밖에 안 나오면 다른 시설에 가서 속도를 측정하는 식이다. 물론 가입 때 고객에게 이를 안내하는 경우도 있다. 가입 상품별로 고객이 받을 수 있는 사은품이 다르기 때문에, 전산상으로 1기가로 가입해놓고 사은품 받으라고 안내하는 경우가 많긴 하다. 그래도 따지고 보면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 막상 현장에 가보니 가입한 상품 설치가 안 되는 환경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어떻게 대응하나?

“속이게 된다. 이런 경우가 많다. 고객이 1기가 상품을 신청해서 현장에 방문했는데, 배선 문제상 모뎀까지는 1기가가 나오는데, 여기서 돌려서 나가는 선은 속도가 100메가밖에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주로 옛날 아파트가 그렇다. 처음에는 ‘상황이 이래서 안 된다’고 설명해드렸는데 언제부턴가 고객에게 얘기 안 하고 설치하곤 한다. 아니면 특정 위치를 지정해서 1기가에 맞춰놓기도 한다.”

– 특정 위치를 지정한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대부분 와이파이는 거실에 설치하고 컴퓨터 인터넷은 작은 방에 설치한다. 그러면 선택을 해야 한다. 1기가를 와이파이에 달 것인지, 컴퓨터에 달 것인지. 이걸 안내하기 애매하니 따로 얘기 안 하고 임의로 설치한다. 고객을 속이는 거다. 잇섭 유튜브 콘텐츠 댓글을 보면 1기가 상품을 설치한 분들이 100메가밖에 속도가 안 나온다고 하는데 이런 경우일 거다. 설치하러 방문할 땐 이미 가입이 된 이후라 엎기 힘든 면이 있다. 고객 본인이 신청한 사은품도 변경해야 하고, 현장에서는 고객의 상품을 바꾸면 1시간 정도 일이 더 걸린다. 그러면 다음 업무들이 밀려서 처리가 안 된다.”

– 인터넷 속도가 잘 나오다가도 느려질 때가 있다. 왜 그럴까.

“수용률과 관련이 있다. 특정 시설은 40개 정도 회선을 수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 38개, 39개를 설치하면 속도가 떨어진다. 요즘은 TV를 인터넷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저녁 시간대에 TV를 많이 보게 되면 속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꽤 많다. 통상 1기가 상품인데 500~600메가 정도 속도로 나오는 상황은 이런 경우로 봐야 한다. 속도가 느려졌다고 고객이 100번 전화로 연락해 얘기하면 초기화시켜준다. 컴퓨터 껐다 켜는 것처럼 ‘리셋’을 하는 방식인데, 그러면 잠깐 동안 800메가 정도 속도가 나온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또 느려진다.”

▲ ⓒwikipedia

– 인터넷 속도에 대한 항의를 자주 받나?

“‘잇섭’ 유튜브 영상 나가고 나서 AS가 많이 뜬다. 가면 욕 먹는다. 그러면 저희도 힘들다고 말씀드린다. 현장에서는 어떻게든 넘어가기 위해 ‘배선이 잘못돼 있었다’고 말하는 등 없는 이유로 만들어서 둘러대기도 한다. 그러고 리셋해서 800메가 속도 나오는 거 확인시켜주고 간다.”

– 가입 때 대리점에서 특정 날짜에 설치하기로 했는데, 정작 설치 노동자와 통화하면 그 시간대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 경우가 많다. 대리점 입장에서는 한 명이라도 더 가입시키고, 더 빨리 가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고객이 원하는 시간대에 설치가 된다고 말한다. 그런데 현장에서는 그 시간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사은품 문제도 애로사항이 있다. 요즘 인터넷과 TV를 신청하면 TV를 사은품으로 준다. 그런데 TV는 2주 정도 후에 발송한다. 그러면 2주 동안 고객은 못 보는 TV요금을 내야 할 때가 있다. TV가 도착하면 인터넷과 TV를 연결하러 또 방문해야 한다. 대가를 더 주지도 않는데, 일을 두 번 해야 한다. 몇 년 전부터 건의했는데 안 바뀐다.”

– KT가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시설 투자를 많이 해야 한다. 시설 증설에 소홀하다. 기존 시설로 돌려막기하고 있다. 그렇게 하면 똑같은 문제가 반복된다. 광케이블의 수용률을 더 넓히고, 본사 차원에서 수용률이 넘어 과부하 걸리면 증설해야 하는데, 대부분 항의가 오면 리셋시키고 만다.”

기가 인터넷 속도 고르는법 총정리(100메가, 500메가, 1기가)

통신요금제만큼이나 복잡해져버린 인터넷요금제..

IPTV는 어떻게 해야할지 인터넷 속도는 어떤걸로 정해야할지, 어느 통신사에서 해야할지

머리가 정말 복잡하시죠?

저도 얼마전 이사를 가면서 IPTV나 인터넷 등을 고민하느라 열심히 공부를 해봤는데요.

오늘은 나한테 맞는 인터넷속도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글만 보시고 더 이상 인터넷속도 고민은 훌훌 날려버리세요!

가정용 인터넷속도는 크게 3가지로 보시면 됩니다.

100메가, 500메가, 1기가 인터넷 이렇게 있는데요.

인터넷속도에 따라 요금제 가격도 다르다보니

본인의 인터넷 사용목적이나 양에 따라 골라주시면 됩니다.

1. 100메가(100mbps) 인터넷

인터넷 사용목적이 인터넷 서핑, 유튜브 영상 시청, 인터넷 쇼핑, 사무업무 정도라면

100메가 인터넷만 쓰셔도 충분합니다.

또한 1-2인 가구라면 100메가 인터넷을 쓰시면 됩니다.

만약 3-4인 이상의 가구라면 100메가 인터넷은 약간 느릴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동시에 3-4명이 인터넷 및 와이파이를 쓰고 있는 상황이라면

100메가를 나눠서 쓰는것이기 때문에 20-30정도의 인터넷속도를 쓰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LTE 속도는?

3개 통신사의 LTE 평균속도는 작년 기준 다운로드 속도 153mbps, 업로드 속도 39mbps입니다.

음.. 그런데 이건 어떻게 나온 수치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LTE 속도

저를 포함하여 제 지인, 주변사람들 모두 오랜 기간에 걸쳐 측정해본결과

실제로는 다운로드 속도조차 25-40mbps 정도 나오더라고요.

LTE 실제 측정 속도

아무튼 따라서 대부분의 사무용도 및 일상용도로는 100메가 인터넷 속도로도 충분합니다.

<본인 인터넷 속도 측정하기(모바일, PC 가능)>

*넷플릭스 공식 인터넷속도 측정 홈페이지

2. 500메가 인터넷

500메가(500mbps) 인터넷 속도부터는 기가 인터넷 속도에 속하는데요.

따라서 기가 인터넷으로 가입하실 때

본인이 500mbps로 가입하는지 1Gbps로 가입하는지, 그 이상으로 가입하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500메가 인터넷은 보통 3-4인 가구에게 추천하는 인터넷 속도입니다.

혹은 1-2인 가구라도

인터넷에서 4k와 같은 고화질 영상을 자주 시청하시거나

온라인 게임을 즐겨하시는 분들,

요즘 비대면 줌모임 등과 같은 비대면 화상회의가 많은 분들,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자주 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리는 기가 인터넷 속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거의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500메가 기가 인터넷 속도 정도면 충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1기가 인터넷

약간의 구글링만 해봐도 500메가와 1기가 인터넷 속도 차이가 체감되냐는 글들이 많은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 정도로 500메가와 1기가 인터넷 속도 차이는 대부분의 일상에서 체감상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기가 인터넷을 사용하면

500메가 속도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1기가(1Gbps) 인터넷 속도를 선택하면 될까요?

주식 및 선물옵션과 같이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들,

라이브로 인터넷 방송(유튜버, BJ)을 하시는분들,

고용량 파일을 자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시는분들,

가족 구성원 중 인터넷 헤비유저가 둘 이상이신분들,

티켓팅 같은것을 자주 하시는분들

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2021년 4월 기준 기가인터넷

즉, 프로그램 매매와 같은 0.01초 단위가 중요한 트레이더들이나

누구보다 빠른 속도가 필요한 티켓팅, 수강신청

그리고 대용량의 파일이 실시간이나 자주 업로드 다운로드 되는 경우에 필요합니다.

단, 이 때 티켓팅이나 수강신청은 단순히 인터넷 속도가 빠르다고 꼭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해당 서버의 속도나 컴퓨터 성능 자체의 영향도 있으며, 손의 빠르기도 중요하기 때문에

사실상 좋은 컴퓨터와 매크로 프로그램 등의 환경이 갖춰져야

조금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온라인게임의 경우에도 500메가와 1기가 인터넷 속도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특히 핑을 낮추기 위해 인터넷 속도를 높이려고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인터넷 속도가 8mbps도 안나오지 않는 이상 인터넷 속도는 의미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가 인터넷 속도별 비교

오히려 유튜버나 편집자분들 같이

대용량의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받아야되는 일이 많으신분들이

1기가 인터넷 속도의 장점을 체감하기 제일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마지막 고려할점. 대칭형 vs 비대칭형

여기까지 기가 인터넷 속도 고르는법을 알아봤는데요.

마지막으로 한가지 더 아셔야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설치되는 인터넷이 대칭형 인터넷이냐 비대칭형 인터넷이냐를 아는것입니다.

간단히 말해 대칭형 인터넷이 더 좋은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일정하고 안정적인 속도가 제공됩니다.

반면, 비대칭형 인터넷의 경우 다운로드 속도 및 업로드 속도 차이가 클뿐만 아니라

속도 자체도 느린경우가 많고 불안전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다만, 대칭형 인터넷을 설치하고 싶다고 항상 가능한것은 아닙니다.

설치 지역에 따라 대칭형 인터넷 설치가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인터넷 가입시 이런 부분을 문의하는게 좋습니다.

500메가 인터넷에서 1기가 인터넷 속도로 올리는것보다

비대칭형 인터넷을 대칭형 인터넷으로 설치하는게 체감이 크기 때문에

대칭형 인터넷으로 설치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정리

그럼 기가 인터넷 및 인터넷 속도 정리해보겠습니다.

– 100메가 : 인터넷 쇼핑, 서핑, 유튜브 시청 정도의 사용자/ 1~2인 가구

– 500메가 : 온라인 게임, 고화질 영상 시청(스트리밍)/ 3~4인 가구

– 1기가 : 인터넷 방송 라이브(BJ), 트레이더, 대용량 파일 다루는 업무

대칭형 vs 비대칭형 : 대칭형이 가능하면 대칭형을 선택!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인터넷 속도 평균 |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인기 답변 업데이트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키워드에 대한 정보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다음은 Bing에서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 인터넷
  • 속도
  • 인터넷속도
  • 기가비트
  • 기가급
  • 메가급
  • 느려요
  • 인터넷 확인
  • 확인
  • KT인터넷
  • SKT인터넷
  • 랜케이블
  • 이더넷 케이블
  • 케이블
  • 공유기
  • 랜카드
  • 외장 랜카드
  • OOkla
  • KT 인터넷 속도
  • 측정
  • 수치
  • 100메가
  • 1기가
  • 1기가급
  • 거니
  • 알고리즘
  • 투게더
  • 알고투게더
  • 코딩
  • 자바
  • C언어
  • 파이썬
  • 고지식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YouTube에서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및 기가 인터넷 사용하기 (feat. 공유기, 케이블, 랜카드) – [고지식] 거니 | 기가 인터넷 속도 평균,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재혼 황후 결말 | 재혼황후 시즌 2 프리뷰 : 사이다만 남고, 고구마는 가라! 84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