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기미 가요 가사 – 일본 국가, 기미가요(君が代) | Korean and Japanese lyrics | 국가로 듣는 세계사“?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fordvinhnghean.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fordvinhnghean.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틈새책방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3,815회 및 좋아요 9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기미 가요 가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일본 국가, 기미가요(君が代) | Korean and Japanese lyrics | 국가로 듣는 세계사 – 기미 가요 가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국가로듣는세계사 #일본 #기미가요
우리에게 일본 ‘기미가요’는 아무 상관 없는 나라의 국가가 아닙니다. 식민지 경험을 떠올리게 하는 국가죠. 역사적 아픔에 책임이 있는 일본 ‘천황’의 치세를 찬양하는 국가를 쉽사리 용납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의 아픔과는 별개로 일본 우익은 꾸준히 ‘기미가요’를 국가의 지위로 올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했습니다. 1980년대 후반부터였죠. 그에 대한 반대도 있었지만, 결국 이제는 야구장이든, 학교에서든 일본 전역에서 ‘국가’인 기미가요를 부를 수 있게 됐습니다.
일련의 과정이 궁금하시다면, ‘국가로 듣는 세계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서점 바로 가기
교보문고 bit.ly/37cEUaN
YES24 bit.ly/3yfsNp9
알라딘 bit.ly/3BYjPiw
인터파크 bit.ly/3y8NDGN
기미 가요 가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기미가요 – 나무위키:대문
기미가요는 일본의 군주인 천황의 안녕을 기리는 곡으로서, 가사는 1000년, 곡조는 130년이 넘은 유서 깊은 곡이다. 일본제국 시기에 활발히 쓰이고 종전 …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1/8/2022
View: 593
일본의 국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미가요》(일본어: 君が代, きみがよ, 임금의 치세)는 일본의 국가이다. 기미가요. 君が代 (임금의 치세). Kimigayo.score.png. 기미가요 악보. 일본의 국가(國歌) …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2/10/2021
View: 2322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 일본국가 – 기미가요 – 네이버 블로그
대한민국의 국가가 애국가(愛國歌)라면, 일본의 국가는 기미가요(君が代, きみがよ)입니다. 제목 그대로 군주(君)의 다스림이 8,000대까지, 바위에 이끼가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9/21/2021
View: 3822
일본의 국가 한국어 번역 – Anthem of Japan (Korean) – YouTube
기미가요에서 ‘기미'(일본어: 君, 군)는 그 대상이 천황으로 해석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메이지 시대에 하야시 히로모리(林 廣守)가 이 가사에 선율을 …
Source: www.youtube.com
Date Published: 12/9/2022
View: 6613
일본의 국가를 ‘기미가요'(君が世)라고 하는데, 원래는 ‘김가네 …
일본의 국가를 ‘기미가요'(君が世)라고 하는데, 이는 ‘임금님의 세상’이란 뜻이지만, 원래는 ‘김가네 세상’이란 말이다. 경일대 총장. 매일신문. “기미 …
Source: m.blog.daum.net
Date Published: 9/12/2021
View: 1666
기미가요 – 리브레 위키
〈기미가요〉(君が代)는 일본의 국가(國歌)이다. 뜻은 해석에 따라 당신의 시대, 임금의 치세 등으로 불린다.
Source: librewiki.net
Date Published: 7/24/2022
View: 8129
[국가] 일본 국가 ‘기미가요’
[제작유래] 기미가요(일본어: 君が代 (きみがよ): 그대(천황)의 치세)는 일본의 국가이다. 이 노래의 유래는 고금 단가집의 “我が君は千代に八千代に …Source: jamyong.tistory.com
Date Published: 4/30/2022
View: 6615
기미가요 가사 해석해보니 ‘충격’ – SBS Biz
인기예능프로그램 ‘비정상회담’에서 일왕을 찬양하는 기미가요를 사용해 연일 논란이다.27일 오후 방송된 JTBC ‘비정상회담’ 17회에서는 일본 출신 …
Source: biz.sbs.co.kr
Date Published: 10/4/2021
View: 4532
‘매국노 논란’ 日기미가요, 대체 뭐길래… – 경향신문
기미가요는 어떤 노래인가요?”“기미가요의 가사는 도대체 무슨 뜻인가요?” 개그맨 조혜련을 ‘…
Source: m.khan.co.kr
Date Published: 10/22/2021
View: 2027
일본 제국주의 상징 기미가요 (Kimigayo,きみがよ [君が代
가사는 10 세기 에 편찬 된 ” 고금 단가 집 “에 수록되어있는 단가 의 하나 “我が君は千代に八千代にさざれ石の巌となりて苔の生すまで 와가키미와치요니 …
Source: oldconan.tistory.com
Date Published: 11/22/2021
View: 820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기미 가요 가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일본 국가, 기미가요(君が代) | Korean and Japanese lyrics | 국가로 듣는 세계사.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기미 가요 가사
- Author: 틈새책방
- Views: 조회수 13,815회
- Likes: 좋아요 92개
- Date Published: 2021. 7. 2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r39clZfrzr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미가요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이름의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이름의 기기가요 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기미가요 君が代
(임금의 치세) 기미가요 악보 일본의 국가(國歌) 작사 불명 작곡 하야시 히로모리(林廣守), 오쿠 요시이사(奥好義) (편곡 프란츠 에케르트) 도입 1888년 사실상 도입
1999년 입법화 듣기
《기미가요》(일본어: 君が代, きみがよ, 임금의 치세)는 일본의 국가이다.
이 노래의 유래는 고금 단가집의 “我が君は千代に八千代にさざれ石の巌となりて苔の生すまで 와가키미와치요니야치요니사자레이시노이와오토나리테코케노무스마데[*] “이다. 이 단가의 “我が君は(와카키미와)”를 “君が代は(기미가요와)”로 바꿔 현재의 가사가 되었다. 기미가요에서 ‘기미'(일본어: 君, 군)는 그 대상이 일본 천황으로 해석이 되는 것이 보통이다.
메이지 시대에 하야시 히로모리(林 廣守)가 이 가사에 선율을 붙였다. 하지만 현재의 기미가요를 완성한 사람은 독일인 출신의 음악가이자 대한제국의 애국가를 작곡한 프란츠 에케르트이다. 과거에는 일본 제국 지배하의 식민지였던 조선, 타이완, 일본 제국의 괴뢰 국가였던 만주국, 왕징웨이 정권, 몽강국 등에서도 불렸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공식 국가는 없었으나 사실상 국가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1999년에 제정된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이른바 「국기국가법」)에 의해 법적으로 기미가요가 다시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기미가요 법제화에 반대한 좌익 성향 일본인들도 상당수 있었다. 지방교육의원회가 입학식이나 졸업식에서 기미가요 제창을 지지하면서 이에 대해 거부하는 어느 학교장이 곤욕을 치르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방송에서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민영 닛폰방송 라디오와 공영방송인 NHK 방송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君が代
(일본어, 히라가나와 한자 혼용) きみがよ
(일본어, 히라가나) 기미가요
(한글 표기) 君が代は
千代に八千代に
細石の
巌となりて
苔の生すまで きみがよは
ちよにやちよに
さざれいしの
いわおとなりて
こけのむすまで 기미가요와
지요니야치요니
사자레이시노
이와오토나리테
고케노무스마데
임금의 치세는 천 대에 팔천 대에 작은 조약돌이 큰 바위가 되어서 이끼가 낄 때까지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 일본국가 – 기미가요
안녕하세요. 시사일본어학원 기자단 1기 김세진 입니다!
저는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최전방 등지에서 5년 간 복무한 뒤 육군 대위로 전역했습니다. 고등학생이 사관생도가 되고 장교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드라마처럼 펼쳐낸 『나를 외치다!』라는 책을 출판했으며, 지금은 미래혁신학교인 건명원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사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을 잘 이해할수록 한국의 어제와 오늘이 보다 선명히 드러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런 관점에서 현재 저는 일본역사를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 나라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노래, 국가(國歌)를 통해 일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으로 제 첫 기사를 시작하겠습니다.
국가의 의미
나라의 노래 즉, 국가(國歌, National Anthem)에는 각 나라가 추구하는 이상향·지향점 혹은 역사적으로 영예로운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국민들은 국가를 부르며 일체감과 소속감을 넘어 때로는 감동과 자긍심도 느낍니다. 각종 기념의식이나 추도의식에 앞서 국가를 부르고, 스포츠대회 시상식에서 국가를 부르며 눈물 흘리는 선수의 모습에 함께 감격하고 자랑스러워합니다. 때때로 국가(國歌)를 부정하는 행위가 사회적 비판의 대상이 되는 등 국가(國歌)는 그 나라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노래입니다. 즉, 한 나라의 특징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일본의 국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일본의 기미가요(君が代)
대한민국의 국가가 애국가(愛國歌)라면, 일본의 국가는 기미가요(君が代, きみがよ)입니다. 제목 그대로 군주(君)의 다스림이 8,000대까지, 바위에 이끼가 낄 때까지 이어지기를 염원하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여기서 君은 천황으로 해석되기에 기미가요는 천황을 숭배하는 노래로 여겨집니다. 그 가사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기미가요 가사 한글번역 君が代は 千代に八千代に 細石の 巌となりて 苔の生すまで 군주의 치세는 천대부터 팔천 대까지 작은 조약돌이 큰 바위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
기미가요의 곡은 1880년 하야시 히로모리(林広守)가 작곡하고 해군성에 교사로 고용된 독일인 프란츠 폰 에케르트가 편곡한 것이 지금까지 쓰이고 있습니다. 한편, 기미가요의 가사의 원형은 일본의 오래된 서적인『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 제7권 가노우타(河の歌)에 나타나있습니다.
『고금와카집』 中 현재 기미가요 我が君は 千代に八千代に さざれ石の 巌となりて 苔の生すまで 君が代は 千代に八千代に 細石の 巌となりて 苔の生すまで
가노우타(河 の歌)라는 와카(和歌)-글자 수 5, 7, 5, 7, 7 총 31글자로 이루어진 일본의 정형시–의 “我が君は(내 님은)” 부분이 “君が代は(군주의 치세는)”로 바뀌어 현재의 기미가요가 됐습니다.
이 가사는 『고금와카집』이외에도 다양한 가집에 실려 널리 불렸습니다. 에도시대의 학자인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1730~1801)에 따르면 기미가요는 원래 장수, 즉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을 기원하던 노래였 습니다. 에도시대 정월마다 도쿠가와 쇼군의 부인이 가사를 읊고, 일반가정에서 신년휘호로 가사를 적어놓고, 각종 연회에서 서로의 장수를 바라며 부른 노래가 바로 기미가요인 것입니다.
초반에는 기미(君)란 낱말이 단지 천황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다른 남성들도 지칭한 단어이기도 하였습니다. 관련 내용은 『고금와카집』을 포함해 각종 사료에 나타납니다. 하지만, 메이지 시대에 여러 정치적 목적을 위해 천황이 전면에 등장하면서 기미(君)는 천황을 지칭하는 단어로 의미가 한정되었고, 기미가요는 천황을 칭송하는 노래로 세뇌되기 시작했습니다. 천황은 원래 오기미(大君)라고 불렸는데, 기미(君)라고 칭하는 것을 결례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 여기서 잠깐! 『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こきんわかしゅう, 고킨와카슈)』란?
다이고(醍醐) 천황의 명령으로 편찬을 시작해 905년에 완성된 책으로 천황이 지명한 당대 실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노래를 선별한 뒤 정리해 엮었습니다. 약 1,100여 수의 와카가 엄선되어 전 20권으로 편찬되었고, 수록된 시들은 대체로 우아하고 섬세하며 이지적인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기미가요의 보급 기미가요는 1890년 메이지천황이 근대천황제 국가의 교육이념을 제시한 “교육칙어”가 발표된 뒤부터 학교 등을 통해 일본 곳곳에 널리 보급되었습니다. 당시 문부성은 소학교에서 의식에 쓸 노래 8곡을 발표했는데 그 첫 번째가 기미가요였습니다. 기미가요를 수록한 교과서에는 “우리 신민이 기미가요를 부를 때에는 천황폐하의 만대를 봉축하고 황실의 번영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가득합니다.” 라고 명시하며 기미가요를 천황숭배 노래로 규정했습니다. 메이지 유신을 이끌었던 정치세력은 ‘천황의 지위가 높아질수록 본인들이 일반 민중을 다스리기 쉽다.’는 역학구도를 적절히 활용했습니다. 이후 일본의 국가로서 관습적으로 불려오던 기미가요는 1999년 일본 국회가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부터 정식으로 법적근거를 갖게 되었습니다. 한편, 기미가요는 일본 제국의 지배를 받던 한국, 타이완, 만주국 등에서도 불렸습니다. 특히 조선총독부는 한국어말살 등 황국신민화 정책을 통해 조선인들을 아예 일본인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는데, 모든 조선인이 하루에 1번 이상은 반드시 기미가요를 부르도록 통제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기미가요의 본질
▲ 출처 : 대한민국 외교부
원래는‘일본의 배’라는 것을 나타내고자 상인들이 걸고 다닌 일장기(日の丸, 히노마루)와 함께 기미가요를 떠받든 데에는 태평양전쟁을 비롯해 아시아 각국을 침략했던 과거를 대내외적으로 정당화하겠는 의도 를 담고 있습니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 황실이나 천황을 비판하면 엄하게 처벌한 “불경죄”라는 법률처럼「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을 정함으로써 천황의 권위에 대한 도전을 봉쇄하는 효과도 가져왔습니다. 이는 오랜 기간 일본을 이끌고 있는 우익정치세력의 각종 정책목적과 일관된 흐름을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에 지배당했던 아픈 과거가 있는 나라들은 일본의 우경화 행보에 거부감을 나 타냅니다. 기미가요를 부르는 일본은 그 옛날의 군국주의 시대 를 떠올리게 합니다.
한국인으로서는 천황의 존재와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일본국헌법의 1조부터 8조까지의 조항이 천황에 관계된 내용이란 사실은 상식적으로도 납득하기 힘듭니다. 가장 가까운 이웃나라이지만 아직도 멀리만 느껴지는 일본… 진정한 관계는 서로에 대해 정확히 이해할 때 비로소 맺어질 수 있습니다. 다음 기사에서는 일본의 헌법으로부터 천황제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리브레 위키
〈기미가요〉(君が代)는 일본의 국가(國歌)이다. 뜻은 해석에 따라 당신의 시대, 임금의 치세 등으로 불린다.
1 역사 [ 편집 ]
가사는 원래 헤이안 시대 전기의 기록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에 수록된 단가(短歌)이다.
“ 我が君は千代に八千代にさざれ石の巌となりて苔の生すまで “
원문은 시작이 我が君は(와가키미와, 나의 그대는)인데 비해 가사는 君が代は(기미가요와, 그대의 시대는)로 시작하는데, 이는 시대 흐름이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가사 또한 간접적으로 바뀌게 된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1]
곡은 이후 1880년에 프란츠 에케르트[2]가 일본 5음도를 사용한 서양 음악으로 붙여 오늘날에 이른다.
2 가사 [ 편집 ]
일본어 한글 독음 한국어 번역 君が代は
千代に八千代に
さざれ石の
いわおとなりて
こけのむすまで 기미가요와
지요니 야치요니
사자레 이시노
이와오토 나리테
고케노 무스마데 임의 치세는
수천년 오랫동안 (이어지리)[3]
작은 돌이
큰 바위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
3 법률 [ 편집 ]
별지 제2호
제2조 ① 국가는 기미가요로 한다.
② 기미가요의 가사 및 악곡은, 별지 제2호를 따른다. —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
일본은 법률로 국가의 제목·가사·멜로디를 정해놓았다. 사진은 해당 페이지의 스캔본.
4 트리비아 [ 편집 ]
국가(國歌)로서는 매우 드문 예시이다. 일단 국가나 민족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고 [4] , 무엇보다도 가사가 상당히 짧으며, 곡조 또한 D로 끝나 [5] 뭔가 이어가려다 말았다는 느낌이 든다.
, 무엇보다도 가사가 상당히 짧으며, 곡조 또한 D로 끝나 뭔가 이어가려다 말았다는 느낌이 든다. 오키나와에서는 기미가요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가 강하여 학교에서도 가르치지 않는다. 애초에 ‘야마토 [6] ‘와 ‘우치나 [7] ‘가 다르다고 여겨왔는데 ‘야마토’를 위한다는 느낌이 아니꼽다는 것. 오키나와 출신 가수인 아무로 나미에가 한때 방송에서 기미가요 제창을 하지 않았는데, (거부한 것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나) 실은 몰랐다 고 해명한 것도 이런 배경이 있다. 홋카이도에서도 비슷한 감정이 있었으나, 내륙 출신의 비중이 커지면서 이러한 감정은 크게 희석되었고, 오키나와도 1999년 교육 의무화 발효 이후로는 일단 교육이 진행되고는 있어서 이런 변화의 현재진행형에 놓여있다.
‘와 ‘우치나 ‘가 다르다고 여겨왔는데 ‘야마토’를 위한다는 느낌이 아니꼽다는 것. 오키나와 출신 가수인 아무로 나미에가 한때 방송에서 기미가요 제창을 하지 않았는데, (거부한 것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나) 고 해명한 것도 이런 배경이 있다. 홋카이도에서도 비슷한 감정이 있었으나, 내륙 출신의 비중이 커지면서 이러한 감정은 크게 희석되었고, 오키나와도 1999년 교육 의무화 발효 이후로는 일단 교육이 진행되고는 있어서 이런 변화의 현재진행형에 놓여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기미가요가 일본 제국 또는 천황을 찬양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하여 일본에 귀화한 것이 아닌 이상은 거부하는 것이 도덕적이라는 인식이 있다. 특히 한국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강제로 부르게 한 것이 있어 그 반감에 의한 것이 더 강하다. 하지만 앞서 언급하였듯 의미상의 문제로는 그게 맞는 말이기도 하고 아닌 말이기도 하기에 참 애매하다. 결국 뒷해석(의미 붙이기)에 의한 것인지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라 관련 논란이 끊이질 않는다. 일본 국내에서도 극좌 중심으로 기미가요를 국가로 제정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기는 하나, 소수의 주장이 된 지 오래이다.
5 들어보기 [ 편집 ]
NHK 방송에서의 기미가요
아악으로 연주한 기미가요
일본 제국 시절의 기미가요 제창
6 외부 참조 [ 편집 ]
7 각주
[국가] 일본 국가 ‘기미가요’
[가사 내용] ‘군주의 통치는 천대에서 팔천대까지 계속 되었으면, 조약돌이 큰 바위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라는 내용이 전부이다. 생각 이상으로 매우 짧고 내용이 간단하다. 조약돌이 어떻게 큰 바위로 자랄 수 있을까 잘 이해는 가지 않지만 어쨌든 그만큼 오랜 세월 동안 군주의 통치가 계속되었으면 좋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 노래는 극우단체 회원들이 (군인도 아니면서) 군복을 차려입고 야스쿠니신사(靖国神社)를 참배할 때 주로 부를 뿐 일본의 일반 국민들은 노래 가사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시절부터 애국가를 따라 부르도록 강요(?)받지만, 일본의 경우에는 패전 이후 국가를 부르거나 국기에 대한 맹세를 하는 식의 군국주의적인 행태가 승전국인 미국에 의해 억압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일 간 축구경기라도 펼쳐지는 날이면 한국 대표선수들이 애국가를 열심히 따라 부르는 것과는 달리, 일본 대표선수들은 키미가요를 연주할 때 대부분 입을 꾹 다물고 있는 풍경이 연출된다. 그런데 오랜 기간 일본의 보수 우익화 경향과 맞물려 자민당과 일부 극우단체를 중심으로 국가로서 법제화를 추진해 결국 1999년 8월 9일 ‘히노마루’와 ‘기미가요’를 일본의 국기-국가로 규정하는 법률안을 일본 국회에서 찬성 166, 반대 71표로 통과 시켰다. 이 법은 ‘국기는 히노마루로 한다’와 ‘국가는 기미가요로 한다’는 2개조만 두고 국기, 국가에 대한 존중의무는 명시하지 않았으나 교육현장에서 사실상의 규제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제작유래] 기미가요(일본어: 君が代 (きみがよ): 그대(천황)의 치세)는 일본의 국가이다. 이 노래의 유래는 고금 단가집의 “我が君は千代に八千代にさざれ石の巌となりて苔の生すまで”이다. 이 단가의 “我が君は”를 “君が代は”로 바꾸어 현재의 가사로 변했다. 메이지 시대에 하야시 히로모리(林 廣守)가 이 가사에 선율을 붙였다. 하지만 현재의 기미가요를 완성한 사람은 독일 출신의 음악가이자 대한제국의 애국가를 작곡한 프란츠 에케르트이다.기미가요에서 ‘기미'(일본어: 君)는 다양하게 해석이 가능한데, 일반적인 시가에서 ‘그대’, ‘(사랑 또는 존경하는) 임’이란 뜻으로 사용되는 단어이고 기미가요에서는 그 대상이 천황으로 해석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공식 국가가 없어졌으나 1999년에 제정된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에 의해 법적으로 ‘기미가요’가 다시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기미가요’ 법제화에 반대한 일본인들도 일부 있었다. 지방교육위원회가 입학식이나 졸업식에서 ‘기미가요’ 제창을 지지하면서 이에 대해 거부하는 어느 학교장이 곤욕을 치르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일본의 국가인 기미가요(君が代)의 가사는 작자 미상이며 고전시가집의 하나인 <고금화가집 古今和歌集>에 수록되어 있는 일본 전통의 시가인 와카(和歌)이다. 곡은 메이지(明治)시대에 이르러 궁정 음악 연주자(레이진, 伶人)인 하야시 히로모리(林広守)가 작곡했고, 1893년에 국가로서 처음 공식 인정되었다. 국가로 인정을 받았다고는 해도 법력으로 정해졌다는 것은 아니고 그냥 국가의 공식적인 행사 때 부르는 노래가 되었다는 의미이다. ( ‘君が代は千代に八千代に/さざれ石の岩ほどなりて/苔のむすまで’) [위키백과]
일본에서 본 ‘기미가요’
지구상에 제대로 모양새를 갖춘 나라중 국기와 국가가 없는 나라가 있을까. 엊그제까지 일본이 바로 그랬다. 히노마루와 기미가요가 있지만 육법전서 어디에도 이들이 국기와 국가라는 규정은 없었다. 이들은 메이지 유신 이후 관행적으로 국가 상징으로 통용되어왔을 뿐이다. 더욱이 전후엔 군국주의의 표상이란 이유로 오랫동안 공론화 자체를 금기시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국기와 국가에 대한 ‘존경심’ 같은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국경일이라고 집집마다 태극기를 내거는 ‘한국적인 풍경’도 찾아볼 수 없다. 기미가요도 일부 ‘제한된 용도’로 사용할 뿐이다.‘천황의 치세는 천대 만대로 작은 돌이 바위가 되고 이끼가 낄 때까지…’란 가사가 말해주듯, 기미가요의 단골 이용객은 극우 단체들이다. 패전 기념일(8월 15일) 등에 야스쿠니 신사 주변을 돌아보면 여기저기서 요란하게 펼쳐지는 우익단체 집회가 대부분 기미가요 기립 제창으로 시작되는 것을 구경할 수 있다. 이를 제외한다면 초, 중, 고교 입학식이나 졸업식, 국가 대결 스포츠 경기 정도를 들 수 있겠다. 일본에서 좌파 진보세력이 급속히 힘이 빠진 90년대 중반 이후 사회 전체적으로 기미가요와 히노마루를 용인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정부 통제하에 어린 학생들이 부르는 기미가요나, 축구장에서 다른 나라 국기와 같이 게양되는 히노마루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일본 국민은 별로 없다.일본의 신세대 축구영웅 나카타 선수는 국기와 국가에 대해 불손 하기로 유명하다. 국제경기에서 다른 선수들이 가슴에 손을 얹고 기미가요에 맞춰 게양되는 히노마루를 향해 경의를 표하는 동안, 고개를 숙이고 껌을 씹거나 가볍게 몸을 푸는 모습이 TV 카메라에 자주 보이 때문이다. 그는 한 잡지와 인터뷰에서 “체질적으로 강요받는 것이 싫다”고 당당히 이유를 밝히기도 했다. ‘건방지다’ ‘국가대표 선수 자격 이 없다’는 일부 비판도 있지만 전후 세대, 특히 20∼30대 젊은이들은 대개 나카타에 동조한다고 볼 수 있다. 평균적인 일본인들은 히노마루에 대해선 그래도 거부감이 덜한 편이지만, 기미가요에 대해선 보수적인 인사들마저 가사가 지나치게 천황숭배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그러나 ‘민심’과는 정반대로 일본 정부는 “히노마루, 기미가요가 갈수록 국민 속에 정착돼 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제시하는 것이 전국 공립학교의 히노마루 게양률과 기미가요 제창률이다. 문부성에 따르면 지난해 히노마루 게양률은 98%, 기미가요 제창률은 81%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학습지도요령이란 이름하에 강요한 결과일 뿐이다. 교원 노조인 일교조는 이를 두고 ‘강요된 애국심의 숫자놀음’이라고 반박한다. 히노마루와 기미가요의 과거사를 어떻게 정리하느냐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법제화를 통한 강제가 국기, 국가 에 대한 진정한 존경심을 국민에게 심어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주간조선 이준 기자/전 도쿄 특파원]
‘매국노 논란’ 日기미가요, 대체 뭐길래…
“기미가요는 어떤 노래인가요?”
“기미가요의 가사는 도대체 무슨 뜻인가요?”
개그맨 조혜련을 ‘매국노 논란’에 휩싸이게 한 일본 국가 ‘기미가요(君が代)를 두고 누리꾼들의 궁금증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기미가요가 함축하고 있는 뜻부터 시작해 조혜련이 박수를 치고 환하게 웃은 행위를 두고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뜻을 몰랐다면 그럴 수 있다” 등 갑론을박으로 인터넷이 뜨겁다.
국가대항 스포츠 현장에서 누구나 한번 쯤은 접했을 기미가요는 메이지 일왕의 생일축가로 처음 불려진 뒤 1999년 ‘국가’로 정식 공포됐다. 기미가요는 ‘천황(일왕)의 통치시대는 천년 만년 이어지리라. 모래가 큰 바위가 되고, 그 바위에 이끼가 낄 때까지’라는 짧은 가사로 일왕의 시대가 영원하기를 염원하는 내용이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는 이 노래를 조선인의 황민화 정책을 위해 하루에 한 번 이상, 또 각종 모임이나 학교 조회시간 때 일장기 게양과 경례 뒤에 반드시 부르게 했다.
이처럼 기미가요는 ‘히노마루’(일장기)와 함께 침략전쟁을 일으킨 군국주의를 상징한다. 이에 일본에서는 일본교직원조합 등 교사들을 중심으로 ‘사상과 양심의 자유를 보장하는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위배된다’며 기미가요 제창을 거부해와 보수파와 대립해왔다. 1965년 오사카부립고교의 히노마루 게양 반대사건에 이어 74년에는 가고시마현의 한 중학교 교장이 히노마루·기미가요 문제로 자살해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다. 98년 사이타마현립 도코로자와고교에서는 ‘졸업·입학식 보이콧 사건’이 발생하는 등 일본 내에서도 기미가요는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대표적 극우인사인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지사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도쿄도 교육위원회는 2003년 10월부터 학교행사 때 국기게양과 기미가요 제창을 의무화한 뒤, 이른바 ‘비애국적’ 교사들에게 중징계를 내리고 있다. 한 초등학교 입학식에서는 학교측이 기미가요 제창시 교사들의 기립을 유도하기 위해 일부러 의자를 준비하지 않아 논란을 빚었다.
이런 가운데 기미가요를 패러디한 ‘풍자국가’가 인터넷상에 유포돼 화제를 뿌리기도 했다.
‘Kiss me’라는 제목의 이 노래는 ‘종군위안부’와 ‘전후보상재판’ 을 테마로, 일본어가 아닌 영어가사로 돼있다. 실제 기미가요와 비슷한 발음으로 들리는 게 특징이다. 노래 첫 부분은 “Kiss Me Girl Your Old One…”(소녀여, 이 할머니에게 키스해다오)으로, 이를 부르면 기미가요 가사인 “기. 미. 가. 요. 와. ”로 들린다. 게다가 노래 부를 때의 입 모양 또한 원래 기미가요를 부를 때와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흡사하다.
가사의 전체적인 의미는 난해하지만, 일본 정부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한 군위안부 출신 할머니들을 만난 일본인 소녀가 이미 숨진 위안부 출신 할머니의 원한을 생각한다는 내용이다. 이 노래를 만든 이는 히노마루 게양과 기미가요 제창에 반대하는 단체로, “기미가요를 부를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노래로, 마음 속의 저항을 받쳐주는 작은 기둥이 될 것”이라고 노래를 소개했다.
일본 제국주의 상징 기미가요 (Kimigayo,きみがよ [君が代·君が世]) 제대로 알고 비난합시다. (노래 듣기, 가사)
반응형
어제 광복절이었습니다. 어느덧 일제 치하에서 고통을 받았던 우리 할아버지 세대들은 갈수록 세상을 떠나는 이 시점에 여전히 반성을 하지 않는 일본
문제는 우리는 그런 일본에 대해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욕만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심지어는 우리 한국에게는 불편할 수 밖에 없는 기미가요에 대해서 아는 사람도 없고 무조건 비난만하고 있습니다. 과거 개그우먼 조혜련 씨 역시 기미가요를 처음 들어봤기에 실수를 했던 것입니다. 일단 ‘기미가요’가 무엇인지 알아 봅시다.
(글에 대한 내용은 위키백과를 인용 또는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일본 제국주의 상징 기미가요 (Kimigayo,きみがよ [君が代·君が世]) 제대로 알고 비난합시다. (노래 듣기, 가사)
들어기가지: 우선 기미가요의 노래를 들어 봅시다.
*참고1:기미가요 노래 동영상
*참고2:노래 가사 きみがよは, ちよに, やちよに, さざれいしの 기미가요와, 지요니, 야치요니, 사자레이시노 いわおとなりて, こけのむすまで 이와오토 나리테, 고케노 무스마데 임의 치세는 천 대에 팔천 대에 작은 조약돌이 큰 바위가 되어 이끼가 낄 때까지 *악보
1. 기미가요 사전적 의미: 일본의 국가(國歌)를 이르던 말로. 天皇의 치세라는 뜻이 담겨있다. 일왕을 찬양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황민화 정책의 하나로 이 노래를 조선인에게 강제로 부르게 하였다.
2. 유래 및 제작
가사는 10 세기 에 편찬 된 ” 고금 단가 집 “에 수록되어있는 단가 의 하나 “我が君は千代に八千代にさざれ石の巌となりて苔の生すまで 와가키미와치요니야치요니사자레이시노이와오토나리테코케노무스마데)이다. 이 단가의 “我が君は”를 “君が代は”로 바꾸어 현재의 가사로 했다.
메이지 유신 후 1880년 (메이지 13 년)에 곡이 붙여져 이후에는 국가로 다루어지게되었다. 1999년 (헤세이 11 년)에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 에서 공식적으로 국가로 제정되었다. 원래는 헤이안 시대 에 읊어 진 와카 이다.
작사는 미정이고 작곡은 林廣守(하야시 히로모리)、奥好義、프란츠 에케르트
*현재의 기미가요를 완성한 사람은 독일인 출신의 음악가이자 대한제국의 애국가를 작곡한 프란츠 에케르트이다.
1880 년 ( 메이지 13 년) 10 월 26 일 (비공식)
1888 년 (메이지 21 년) (대외 정식 공포)
1999 년 ( 헤세이 11 년) 8 월 13 일 (입법)
3. 기미가요에 대한 일본의 인식
기미가요는 1999년 국기국가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가로 되었는데 법 제정 이전 1974 년 ( 쇼와 49 년) 12 월 에 실시 된 내각부 · 정부 홍보 개의 여론 조사에서 대상자의 76.6 %가 ‘기미가요는 일본의 국가 (나라의 노래 )로서 적격 “고 답변하는 한편,” 합당하지 않다 “고 답변 한 것은 9.5 %였다
일본 교직원 조합 및 산하 교직원 노동 조합의 교육 현장에서의 “기미가요 반주” “기미가요 제창”을 반대하고 있다.
1)긍정적 의견을 제시하는 자들의 의견 (대부분 우익단체)
사실상 국가로 불려왔다 메이지 이래의 전통을 중시해야
정치적 배경과 무관하게 일본적인 곡으로서 국가에 가장 적합한 국민들은 애국심 이 있어야하기 때문 “기미가요 ‘를 부르는 것으로 그 의식을 높여야한다
기미가요에 의해 천황 폐하에 대한 충성심을 함양하기
2)부정적인 의견(진보성향, 교육자)
대 일본 제국 시대의 국가이며, 가사는 천황 숭배의 의미가 강하다 ( ‘너’는 천황을 가리 키도록)
( “천황의 통치 ‘라는 의미의 국가는) 천황이 절대 권력자였던 대 일본 제국 헌법에는 상응라고해도 주권재민의 현 헌법에는 적합하지 않다.
3) 교육현장의 반응
1998 년 (헤세이 10 년) 때부터 교육 현장에서 문부성 의지도에서 일장기 (日の丸)의 게양과 동시에 ‘기미가요’의 제창 통지가 강화되었다. 일본 교직원 조합 등은 헌법이 보장하는 사상 양심의 자유에 반하는 깃발 게양 및 “기미가요 ‘제창을 반대하고 있다. 1999 년에는 広島県立世羅 高等学校 에서 졸업식 당일 교장이 자살 하는 사건이 생겼는데 “기미가요 ‘제창과 일장기 게양 문부성 통달과 그것을 반대하는 일교조 교직원사이에서 갈등한 것이 원인이라고 추측된다. 이것을 계기로 ” 국기 및 국가에 관한 법률 ‘이 성립 정부는 국기 국가의 강제는 안했지만 일본 교원 노동 조합 측은 실제로 법을 근거로 한 강제가 교육 현장에서 되고 있다고 지적, 제창 · 게양을 추진하는 교육 행정 및 이를 지지하는 보수파의 대립은 계속되어왔다. 직무 명령이 발령 된 것 자체는 사실에서 직무 명령의 제출을 거부 한 결과 징계 처분을 받고 그 취소를 구하는 소송도 빈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민 대다수에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 현실에서 일교조의 자세도 부드럽게 입학식이나 졸업식에서 국기 게양 국가 제창의 실시 비율은 상승하고 있다.
일교조 는 ‘히노마루 · 기미가요’를 거부하고 있지만 ‘기미가요’를 대체하는 새로운 국가의 제정을 주장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독자적으로 새로운 ‘국민 노래’를 공모 한 바 있다.
4. 방송 연주의 시작
1951년 (쇼와 26 년) 9 월에 일본국과의 평화 조약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성립 정식으로 일본이 독립 국가로 복귀 한 이후, 일본 방송 협회 (NHK)의 라디오 방송에서 연일 방송 종료 후에 오케스트라 에 따르면 “기미가요 ‘의 연주가 시작되었다. TV에서 NHK가 개국 한 1958 년 (쇼와 33 년) 2 월 의 시점에서는 없었지만, 같은 해 9 월부터 역시 종영 때 연주되게 되었다.
최근 NHK가 24 시간 방송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게 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NHK 라디오 제 2 방송 과 NHK 교육 TV (현 NHK E 텔레 ) 방송의 끝에 만 흐른다. 그러나 NHK E 텔레 24 시간 방송을 하고 있던 2000 년 (평성 12 년)에서 2006 년 (헤세이 18 년) 4 월까지 결방을 할 때에 나오고 있다.
또한 민방의 닛폰 방송 에서도 이전에는 매일 연주 ( 접합 )을 방송하고 있었지만, 1998 년 (헤세이 10 년) 4 월부터 매주 월요일 방송 시작과 토요일 5시 이전에 한해서 방송하고 있다. 이전에 AFN 에서도 매일 0시 뉴스 새벽에 FNN / FNS · NNN / NNS 계열의 테레비大分 와 FNN / FNS 계열의 방송 개시 · 종료시에 일장기 게양과 함께 연주되고 있다.
스카이 퍼펙트 커뮤니케이션! 217ch에서 스파이럴 방송을 하는 채널 사쿠라는 스파이럴 방송 시작과 종말에 일장기 와 함께 ‘기미가요’의 연주가 흐른다.
후지 TV 에서 방송 된 세계 피겨 선수권 여자 프리에서 2007 년 (2007 년) · 2008 년 (헤세이 20 년) · 2010 년 (2010 년)와 일본인 선수가 우승 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기 ( 일장기) 게양과 애국가 (기미가요) 연주 · 제창이 없던 반면, 2009 년 (2009 년)에 한국 선수가 우승했을 때 한국의 국기 게양 · 국가 제창이 방송되고 방송국의 자세와 맞추어 비판 한 적도 있다.
5.마무리 지금 일본 현지에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기미가요가 일상화되지는 않았다. 대다수 일본 국민들이 실재로는 기미가요에 신경을 쓰지 않는 편이다. 몇구절 안되는 짧은 가사임에도 불구하고 가사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젊은이들이 상당수다. 기미가요를 부른다는 사람들은 우익단체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일본인들도 잘 모른다는 기미가요에 우리가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과거 일본에 의해 아픈 상처를 가진 우리 한국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것이 바로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이기때문이다. 기미가요는 그런점에서 짧지만 아주 무서운 노래다. (더 상세한 정보는 위키백과 등을 참조하세요)
글 작성/정리 올드코난 (Old Conan) 글에 공감하신다면 SNS (요즘,트위터,미투데이, 페이스북)로 널리 널리 알려 주세요. ★ 글의 오타, 하고픈 말, 그리고 동영상 등이 재생이 언되는 등 문제가 발견 되면 본문 하단에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기미 가요 가사
다음은 Bing에서 기미 가요 가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일본 국가, 기미가요(君が代) | Korean and Japanese lyrics | 국가로 듣는 세계사
- 일본
- 기미가요
- 교토
- 오사카
- 일본 우익
- 일본 국가
- 국가로 듣는 세계사
- 국가
- 세계사
- 틈새책방
일본 #국가, #기미가요(君が代) #| #Korean #and #Japanese #lyrics #| #국가로 #듣는 #세계사
YouTube에서 기미 가요 가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본 국가, 기미가요(君が代) | Korean and Japanese lyrics | 국가로 듣는 세계사 | 기미 가요 가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